남원공공의료대학 설립은 여야의 협치로 진즉 법제화를 끝낸 뒤 완공됐어야 할 사안이다. 그 이유를 재언하는 것은 유쾌하지 않다. 역대 정부가 주창해온 ‘지역균형발전’의 표본으로, 수도권 이남의 중간, 지리산 서남지역 전통중소도시 남원에 설립한 서남대를 없애면서 그 후신으로 공표한 대학이기 때문이다.
서남대 폐지를 보수,진보정부가 3대에 걸쳐 공통으로 진행하였지만, 남원공공의료대학 설립도 3대에 걸친 정부와 대선후보들이 같은 목소리를 냈다. 그에 따라 작년 남원 출신 박희승 의원이 민주당 70명과 함께 발의했고, 이번에는 박의원이 보건복지위에서 법사위로 옮기면서 본격적인 시동을 걸고 있다.
그러나 공교롭게도 공공의료대학 수요가 무려 10개 이상으로 갑자기 불어났다. 물론 이러한 요구를 남원 공공의료대학과 같은 수준으로 대우할 수는 없다. 이런 좀비 수준의 행태를 두고 정치권이 일일히 대우하는 것은 정치도 아니다. 더군다나 이 현상은 여야가 공히 남원공공의료대학 사안을 손 놓고 방치해 둔 데 그 연유가 있다.
오히려 수요가 그처럼 많다면 남원공공의료대학의 정원을 크게 늘려서 정부지원을 줄여도 제대로 돌아가게끔 하는 게 정상이다. 어쨌든 여야가 협치로 빨리 마무리할 적시라 하겠다.
지금 보건복지위 상임위원장은 박주민 의원이다. 초선에 당당히 최고위원 선출 최고득표를 해, 중진 이상의, 미래 지도자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정치인은 논리가 정연하고 결단력도 빠르다. 당 지도층과 여론의 신뢰를 받고 있으므로 정도의 행보를 취하기 마련이다.
국민의 힘도 이 문제의 신속한 해결에 민주당과 입장이 다를 리 없다. 협치는 이 지역의 진보, 보수 세력 구도에서 단순히 정치공학적 차원보다 도민 정서의 뿌리에 더 집중되어야 할 필요에서다.
남원 공공의료대학 설립이라는, 진보와 보수, 여야가 함께 원인을 제공했고 책임을 져야 할 문제에서, 협치라는 이름의 결실을 맺는 것도, 대선거의 열기에 청량제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