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는 국가망보안체계(N²SF)를 조망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20년 가까이 이어온 획일적인 망분리 정책에서 벗어나 일대의 변혁으로 통하는 국가망보안체계 시행을 앞두고 정보보호산업계의 역할과 공공기관의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전자신문은 내달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국가망보안체계 전망과 대응'을 주제로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월 국가정보원 주도로 태스크포스(TF)를 설립하고 2006년 도입한 망분리 정책에 메스를 들었다. 공공분야에서도 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사용하고 공공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국정원은 지난해 9월 열린 국제 사이버안보 행사 'CSK 2024'에서 로드맵을 발표하고 정책 방향성을 제시했다.
우선 데이터 활용과 보안성 모두를 따져 정보시스템·데이터 중요도에 따라 기밀(Classified)·민감(Sensitive)·공개(Open) 등 세 등급을 나눠 보안을 차등 적용한다.
특히 △공공데이터의 외부 AI 융합 △인터넷 단말의 업무 효율성 제고 △업무환경에서 생성형 AI 활용 △외부 클라우드 활용 업무협업 체계 △업무 단말의 인터넷 이용 △연구 목적 단말의 신기술 활용 △개발 환경 편의성 향상 △클라우드 기반 통합 문서체계 등 8개 정보서비스모델을 공개했다. TF는 정보서비스모델별로 보안대책안을 제시하고 정책 이해도를 높인다는 복안이다.
TF는 내달 중 국가망보안체계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계획이다. 가이드라인 본문엔 국가망보안체계 개념과 적용을 위한 다섯 단계 절차 등이 담기며, 부록1(보안통제 해설서)과 부록2(정보서비스모델 해설서)도 제작해 이해를 도울 방침이다.
가이드라인이 베일을 벗으면 정보보호산업계 움직임은 더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국가망보안체계 핵심은 망분리 여부에 있는 게 아니라 망분리를 하지 않고도 보안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다양한 보안정책을 인정하는 만큼 새로운 보안 솔루션 수요가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부처·공공기관은 고민이 깊어졌다. 보안정책 자율성이 주어지면서 책임도 커졌기 때문이다. 국가망보안체계 적용으로 부처·기관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보안을 강화하는 방안을 찾아야 하는 숙제를 안았다.
이번 콘퍼런스는 공공·보안산업계의 이 같은 고민을 짚어보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 행사 참여 문의는 전자신문으로 하면 된다.
조재학 기자 2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