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수행의 핵심요체인 사성제(苦集滅道)에 대하여

2024-09-24

사성제(苦集滅道). 이는 불교 수행의 핵심요체이다. 그러나, 대다수가 잘못이해 하고 있어서 다시 설명한다. 고(苦)ㅡ고통을 말한다. 현대에 서구에서는 불만족성(unsatisfactory)이라 해석한다. 그러나, 우리 선조가 해석한 '고통'이 더 타당할 것 같다. 붓다는 이렇게 비유했다. 질병이 깊숙이 들어 안착된 것이다. 암 당뇨 결핵 뇌졸증 등이 완전하게 발생된 것을 뜻한다. 정신적 육체적으로 생긴 만 가지 질병을 말한다.

집(集)ㅡ집기(集起, 일어나서 쌓여진 것)를 말한다. 붓다의 설명을 들어보자. 만약 누가 암에 걸렸다고 설정해보자. 대부분의 암 환자는 첫째,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는 증거가 나온다. 다음은 생활이 불규칙하고 어지럽다는 조사가 나온다. 세번째는 식사생활이 엉망이다. 기름진 음식 탁한 음식 술 담배 등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외에 다른 원인도 있을 것이다. 이런 것들을 생활 습관병이라고 하는데, 이런 항목들이 모여 쌓여 암같은 병이 생긴 것이다. 이것이 바로 집(集)이라고 했다.

멸(滅)ㅡ적멸을 의미한다. 탐진치가 소멸되어 '텅빈 상태'를 말한다. 이미 "내가 붓다다 "하고 대결정심을 내고, 텅빈 허공이나 '빛을 머금은 붓다가 나'다 하고, 항시 시각화시켜서 함께 살아간다. 또는 공적영지(텅텅 허공 속에 내재한 지혜)를 지니면서 살아간다. 그리고, "이미 병은 치유되었다." 하고 결정하고 자기 최면에 들어간다.

도(道)ㅡ팔정도를 뜻한다. 여덟 개의 항목이 있는데. 큰 한 송이 꽃이 여덟 꽃잎으로 이루어진 것을 뜻한다.

팔정도는 단수이다. 복수가 아니다. 또 다른 비유는 여덟 개의 고리가 연결되어 하나로 원형의 쇠줄로 이루어진 것을 뜻한다.

붓다는 설명한다. 질병이 든 자는 치료하려면, 이미 치료되었다고 확신하고, 완전하게 붓다가 된 자기의 모습을 시각화시키고 매순간 미소짓고 건강한 모습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하셨고(관상법이다.),"내가 붓다다.'하고 확언해야 한다고, 하셨다.(칭명법). 그리고, 탐진치가 일어날 때는 그 즉시 알아차리면서 언행을 바로잡아야 한다.

이것은 심리행동요법이고, 두 번째는 건강한 치유식을 배우고 실천해야 하고. 세째는 알맞은 운동요법과 부작용 없는 호흡수행을 배워야 한다.

마지막으로 양방 한방 민방 자연치유 등 종합적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

수행에 있어서 팔정도는 정견(올바른 견해) 정사(올바른 사유)는 공적영지와 그에 대한사유, 그리고 자기자신이 이미 붓다다 하고 생각하고 건강한 모습을 시각화하는 것을 말한다.

정견 정사유는 위빠사나 16과정공부를 의미한다.

언행은 정어(자비스런 언어) 정업(올바른 행동) 정명(올바른 생계수단) 정전진(생명바쳐 진리인 팔정도 실천에 미쳐버림) 정념(매순간마다 알아차리면서 관상법 칭명법으로 나아가는 것, 사념처공부를 해야 한다.)

정정(깊은 삼매에 들기, 사마타 팔선정을 공부해야 한다.)을 말한다. 중국조사들은 팔정도를 요약해서 정혜쌍수라 요약 정리하여, 수행에 임했다. www888@naver.com

*필자/태광스님

대구 해룡사 주지. 명상하는 스님.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About the Four Noble Truths (苦集滅道),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Tae Kwang Monk

The Four Noble Truths (苦集滅道). This is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However, most people misunderstand it, so I will explain it again. Go (苦) - refers to suffering. In modern times, the West interprets it as unsatisfactory. However, the 'suffering' interpreted by our ancestors seems more appropriate. Buddha used this metaphor. It is when a disease has deeply settled in. It means that cancer, diabetes, tuberculosis, and stroke have completely occurred. It refers to ten thousand diseases that occur mentally and physically.

Jip (集) - refers to Jipgi (集起, things that arise and pile up). Let's listen to Buddha's explanation. Let's assume that someone has cancer. First, most cancer patients have evidence that they are under a lot of stress. Nex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ir lifestyle is irregular and chaotic. Third, their eating habits are messy. There are many cases of eating oily food, murky food, drinking, smoking, etc. There may be other causes as well. These are called lifestyle diseases, and these items accumulate and cause diseases like cancer. This is what is called a collection (集).

滅 (滅) - It means extinction. It refers to the 'empty state' where greed, hatred, and ignorance are eliminated. Already, you make a great determination saying, "I am Buddha," and live with it by always visualizing the empty space or 'the Buddha who holds light'. Or, you live with the wisdom inherent in the empty space. Then, you decide, "The disease has already been cured," and enter self-hypnosis.

道 (道) - It means the Eightfold Path. There are eight items. It means a large flower with eight petals.

The Eightfold Path is singular. It is not plural. Another metaphor is that it means eight rings connected to form a single circular iron wire.

The Buddha explains: He said that in order to cure a diseased person, one must be convinced that he has already been cured, visualize his own appearance as a complete Buddha, and smile and look at his healthy appearance every moment (physiognomy), and affirm that he is a Buddha (naming method). And when greed, hatred, and delusion arise, one must immediately notice and correct one’s words and actions.

This is psychobehavioral therapy. Second, one must learn and practice a healthy healing diet. Third, one must learn appropriate exercise therapy and breathing exercises without side effects.

Lastly, one must utilize comprehensive methods such as Western medicine, Oriental medicine, folk medicine, and natural healing.

In practice, the Eightfold Path refers to the right view (correct view), right thought (correct reasoning), public knowledge and thinking about it, and visualizing oneself as a Buddha and a healthy appearance.

Right view and right thought refer to the 16 stages of Vipassana study.

Speech and action are right speech (compassionate language), right action (correct action). Jeongmyeong (the right way of living), Jeongjeonjin (practicing the Eightfold Path, the truth, with one's life), Jeongnyeom (noticing every moment and advancing to the method of contemplation and naming, one must study the four places of mindfulness)

Jeongjeong (entering deep samadhi, one must study Samatha and Eight Dhyana). The Chinese patriarchs summarized the Eightfold Path and summarized it as Jeonghye Ssangsu, and practiced it. www888@naver.com

*Author/Tae Kwang Seunim

Head of Haeryongsa Temple in Daegu. A meditating monk.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