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가 더 낮으니까”… 애플, 인도서 아이폰 조달 확대한다

2025-04-08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로 인한 손실을 피하기 위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더 많이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런 조정은 애플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계획에 대한 단기적인 임시 조치”라며 “애플은 현재 상황이 공급망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바꾸기에는 불확실하다고 보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애플은 중국보다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인도에서 조립한 아이폰을 미국으로 가져옴으로써 이를 어느 정도 상쇄한다는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인도에 각각 34%, 26%의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에 중국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들어오는 제품에 대한 관세율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54%로 급등했다.

중국은 보복 조치에 나섰고, 트럼프 대통령은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추가로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애플은 수년 전부터 아이폰 등 주요 기기의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중국에 대한 생산 의존도가 높다.

특히,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로 현재 1100달러에 판매되는 아이폰16 프로의 경우 현재 550달러에 달하는 하드웨어 비용에 300달러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관세가 중국의 절반 수준인 인도에서 아이폰을 들여오면 손해를 줄일 수 있다.

애플은 2017년부터 파트너사와 협력해 인도에서 아이폰을 조립해 왔으며, 구형 모델부터 시작해 점차 최신 모델까지 확장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인도에서는 약 2500만 대의 아이폰을 생산할 예정으로, 이 중 약 1000만대는 대개 인도 국내 시장에 공급된다.

애플이 인도에서 생산된 모든 아이폰을 미국 국내용으로 전환하면 올해 미국 아이폰 수요의 약 50%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애플은 지난 2일 관세 계획 발표 이후 3일 동안 주가가 19% 하락, 시가총액이 6380억 달러(938조1790억원) 증발했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