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기 "원잠 전략화·연구 인프라 예산과 제도로 뒷받침"

2025-11-17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7일 한미 안보·관세 합의 결과와 관련해 “이제 대한민국은 미래 기술과 에너지 주권을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나라가 됐다”며 “원자력잠수함 전략화와 연구 인프라를 예산과 제도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과의 협상으로) 안보와 에너지 두 분야에서 우리의 선택지가 넓어졌다. 이재명 정부가 국익 중심 실용 외교로 큰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정부가 발표한 한미 안보·관세 합의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와 관련해 “원잠 등 안보 분야의 성과도 크다”며 “사실상 무제한 잠항, 더 빠른 속력, 넓은 작전 범위까지 가능하게 하면서 우리 해군 전력이 완전히 다른 단계로 올라섰다”고 호평했다.

이어 “또 하나 중요한 성과는 미국이 한국의 민간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공식적으로 지지한 것”이라며 “고준위 폐기물 부담은 줄고 미래 원자로 기술 확보로 가는 길도 열린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원내대표는 그러면서 “해군의 차세대 작전 능력과 감시 정찰 체계도 정비하겠다”며 “원자력 기술을 속도감 있게 발전시키고 우라늄 농축 재처리와 사용후 핵연료 감출, 미래형 원자로 개발까지 꼼꼼히 챙기겠다. 이번 성과를 종이 기록으로 끝내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고령이거나 지원이 필요한 사각지대에 있는 국가유공자도 존엄과 안전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꼼꼼히 보살피겠다”며 “독립유공자 유족은 생의 마지막까지 예우를 다하겠다. 제대군인의 헌신도 국가적인 인정을 받고 국민 모두가 그 가치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