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이 된 '동학농민혁명기록물'] (60) 양호초토등록, 고종과 홍계훈 문답문서

2025-09-10

- 동학농민군 진압에 나선 홍계훈 관련 기록물

이번에 소개하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동학농민군 진압에 나선 홍계훈 관련 기록물로써, 『양호초토등록(兩湖招討謄錄)』과 『고종과 홍계훈문답문서』 두 자료이다. 특히 이 두 기록물은 1차 동학농민혁명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만큼 흥미롭다.

홍계훈(洪啓薰, 1842-1895)은 초명이 홍재희(洪在羲)로, 1842년에 무관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무예청 별감으로 관직을 시작한 그는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났을 때 민비를 등에 업고 궁궐에서 탈출시킨 공으로 중용되었다. 1893년 동학교도들이 충북 보은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을 때, 장위영 정령관으로 임명되어 경군 600명을 이끌고 청주로 출동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홍계훈은 당시 민씨정권의 측근 무관으로 활동하였는데, 그 때문에 동학농민혁명기에도 홍계훈의 역할이 컸다. 동학농민군이 파죽지세로 전라지역을 장악하자 위기를 느낀 민씨정권은 홍계훈을 1894년 4월 2일 양호초토사로 임명하여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도록 하였다. 『양호초토등록』과 『고종과 홍계훈문답문서』은 그 과정에서 생산된 기록물이다.

△『양호초토등록(兩湖招討謄錄)』

이 기록물은 양호초토사 홍계훈이 장위영군(壯衛營軍)과 강화영군(江華營軍) 등 경군(京軍)을 인솔하고 서울을 출발한 4월 초 3일부터 전주성을 수복한 직후인 5월 16일까지의 관련 사실을 일기체로 수록한 것이다.

이 자료에는 1894년 3월 20일에 동학농민군이 무장에서 기포하여 전주성을 향해서 진군하기 시작하자, 중앙정부가 홍계훈을 양호초토사로 임명하여 동학농민군을 토벌하도록 남하시켰을 때의 초토 활동 기록을 담고 있다. 또한 일록(日錄) 뿐만 아니라 양호초토사가 승정원 등 중앙정부에 보고한 장계와 전라관찰사에게 보낸 이문(移文), 각군에 보낸 감결(甘結), 산하 군대에게 보낸 전령(傳令), 도민에게 포고한 방문(榜文), 동학농민군의 귀순을 권고한 효유문 등이 정확한 날짜와 함께 원문이 수록되어 있다.

이 기록물은 비록 양호초토사 자신의 자기 변명이 충만되어 있으나, 그 내용에는 풍부한 사실을 담고 있어 사료비판을 하면서 활용하면 제1차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정부의 대책과 진압군의 초토 활동에 대한 여러 사실을 알 수 있다.

이 자료는 1894년 4월 3일부터 5월 28일까지 초토사 홍계훈과 각처 사이에 주고받은 전보를 날짜 순서로 수록한 『양호전기(兩湖電記)』와 함께 교차 분석할 경우, 당시 정부의 진압책과 동학농민혁명 전개상황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고종과 홍계훈문답문서』

이 기록물은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해 파견된 초토사 홍계훈과 고종이 문답한 문서로, 폭 23cm, 길이 292cm이다. 이를 통해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두 사람의 시국인식과 대처방안 등을 알 수 있다. 작성자와 작성시기는 불명이다. 독립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4월 3일 서울에서 출정한 양호초토사 홍계훈은 동학농민군이 4월 27일 점령한 전주성에서 5월 8일 철수하자, 전주성내로 들어간 뒤 동학농민군이 해산한 것으로 중앙 각처에 보고하였다. 이를 접수한 정부에서는 청·일 양국 군대를 철수시키는 일이 급선무인 만큼 동학농민군이 해산하였으니 조선에서 철수할 것을 요청함은 물론 홍계훈으로 하여금 서울로 귀경하도록 5월 16일 지시하였다.

이에 따라 홍계훈은 5월 16일 전주를 출발하여 공주를 거쳐 5월 26일 서울에 도착하였다. 이에 친군 장위영(親軍壯衛營)에서는 ‘본영의 정령관(正領官) 홍계훈이 거느리고 호남에 가서 주둔하고 있던 장수와 군사들이 오늘 올라왔습니다.’라고 고종에게 아뢰었다. 그러자 고종은 당일 초토사 홍계훈을 보현당으로 불러 궁금하였던 점을 홍계훈에게 직접 묻고 홍계훈이 답하였는데, 『홍계훈과 고종문답문서』는 바로 두 사람의 문답내용을 필사한 문서이다.

두 사람이 나눈 문답은 대략 11번 정도였다. 먼저 고종은 홍계훈이 동학농민군을 진압한 것을 치하한 뒤 궁금한 사항을 질문하는 형식으로 문답이 이루어졌다. 그 가운데 몇 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고종은 호남으로 내려간 청군병을 어디서 만났는지 홍계훈에게 물었다. 홍계훈은 능지점에서 청국군 정탐병을 만나, 동학농민군이 해산한 전말을 상세히 말해주고 갈 필요가 없다고 하자 그 역시 돌아갈 것이라고 답했다고 하였다. 고종이 다른 무엇보다도 먼저 홍계훈에게 청국군 동정을 물은 것은 그만큼 청일 양국군을 철수시키는 일이 초미의 관심사였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는 심영병 가운데 병에 걸리고 부상한 병사가 없는지 물어본 뒤, 군사 훈련도 받지 않은 병정들이 큰 공을 세웠다고 하자, 홍계훈은 ‘우리 군은 불과 2000∼3000명임에도 물러남이 없이 저들 수만명을 무찔렀다’고 답하였다.

또 고종은 동학농민군이 불랑기(佛郞機) 대포를 어느 곳에서 얻었는지 물었다. 그러자 홍계훈은 수십년전 강화에서 분실한 것으로 동학농민군이 전주성에서 반납한 뒤 귀화하였다고 답하였다. 실제 동학농민군은 5월 8일 전주성에서 철수하면서, 극로백 1좌, 회선포 1좌, 총과 창 1000자루, 불랑기 대포 24좌와 연환 10두 등을 반납하고 성문을 빠져나갔다.

그러자 고종은 다시 지금 비류가 모두 흩어졌느냐고 물었다. 홍계훈은 태인에 70여 명이 모여 있으나, 그들의 진정에 따라 전주성내로 피신한 태인군수로 하여금 조속히 환관하여 각별히 안정시키도록 하였다고 답하였다. 또 고종이 호남 각읍이 난리를 겪은 뒤 주민들이 실업하고 이산한 자가 많다고 하는데 어떻게 안집시킬 것인지 물었다. 이에 대해 홍계훈은 감영에서 군사를 모으는 것을 금지시켰을 뿐 아니라, 금구·태인·부안·정읍·흥덕·영광·장성·함평 등지의 수령은 각별히 임명해야 후환이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또 고종은 청국병이 호남을 향해 갔기 때문에 심영병(沁營兵)이 머물 필요가 없지 않느냐고 묻자, 홍계훈은 청국병이 내려온다는 소문에 백성들이 도피한다고 하면서 청국군보다 심영병이 머무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답하였다. 실제 5월 19일 홍계훈이 이끄는 장위영군대는 상경하였지만, 심영병은 청주병영군과 함께 계속 전주에 머물렀다.

이처럼 홍계훈은 고종에게 동학농민군이 해산한 것으로 보고하였지만, 동학농민군 주력부대는 전주성에서 철수해서 각지로 흩어져 순행하면서 계속 활동하였다. 실제 홍계훈은 동학농민군을 진압하는데 큰 공이 없을 뿐 아니라, 청나라에 구원병을 요청하도록 보고하여 청일전쟁의 원인을 제공한 인물이었지만, 동학농민군 진압 공이 인정되어 훈련대 연대장으로 승진하였다.

그러나 훈련대 연대장으로의 승진은 죽음이 기다리고 있었다. 1895년 음력 8월 일본의 명성황후 시해사건 때 훈련대장으로서 광화문을 수비하다 일본군의 총탄에 맞아 죽었다. 그 공으로 군부대신에 추증되었고 충의(忠毅)라는 시호도 받았다. 1898년 해월 최시형의 죽음에 이어 동학교단의 핵심인물이었던 서장옥·손천민 등이 사형을 당한 1900년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현충시설인 장충단에 제향되었다.

김양식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소장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