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경복궁 영훈당·덕수궁 흥덕전 권역 복원 현장 매월 1회 공개

2025-04-28

[뉴스서울]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궁궐 복원사업을 널리 알리고, 국가유산 수리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오는 4월 30일부터 11월 26일까지 총 8회에 걸쳐 경복궁 영훈당 권역과 덕수궁 흥덕전 권역의 복원 현장을 공개한다.

궁능유적본부는 2014년부터 해마다 국민들에게 국가유산 수리현장을 공개해 왔으며, 2020년부터는 코로나19로 인해 주요 수리현장들을 촬영한 영상을 온라인을 통해 공개해 오다가 2022년부터 다시 현장을 공개하고 있다.

경복궁 영훈당(永薰堂)은 향원정 남측, 함화당과 집경당 인근에 자리한 전각으로 고종대 경복궁 중건과정에서 새로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창덕궁 화재 복구를 위한 경복궁 전각 철거 과정에서 함께 사라졌고, 최근 '하재일기'를 비롯한 고문서, 고지도, 발굴 유구 등 고증 자료를 통해 영훈당의 역사와 공간적 위치가 확인돼 궁궐 내 물품을 관리하던 공간으로 활용됐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덕수궁 흥덕전(興德殿)은 당초 덕수궁 동쪽에 있던 선원전의 화재로 소실된 어진을 복원하기 위해 각 지역의 어진을 이안하고 모사하는 이안청의 역할을 수행했고, 1904년 효정왕후(헌종 계비)와 순명효황후(순종비), 그리고 1911년 순헌황귀비(고종 후궁, 영친왕 친모)의 승하 때는 빈전으로 사용되다가 고종이 승하한 1919년에 훼철되어 창덕궁 행각 공사에 쓰이기도 했다. 현재 2027년 마무리를 목표로 복원 공사를 진행 중에 있다.

이번 현장공개 참가자들은, 실제 경복궁 영훈당과 덕수궁 흥덕전의 복원 공사에 참여하고 있는 국가유산수리기술자로부터 상세한 설명을 들으며 복원 현장을 직접 살펴볼 수 있다. 평소 쉽게 접할 수 없었던 궁능의 역사적 가치와, 국가유산의 복원을 위해 앞장서는 현업 종사자들의 노력을 가까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현장공개에 참가를 희망하는 국민은 각 현장공개일의 해당 월마다 전화접수를 통해 상시 사전 신청하면 되며, 참가자들의 안전을 고려하여 입장 인원은 각 현장별 회당 20명으로 제한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수리현장을 공개하여, 국민들의 국가유산 향유권 증진을 위해 노력해나갈 것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