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통 문제 해결 신기술 제시…국토부, R&D 로드맵 설명회

2025-04-02

향후 10년 기술 개발 계획…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 제시

디지털 트윈 환승센터 운영…차세대 철도신호체계 구축

정부가 광역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신기술 청사진을 발표한다. 기술 개발을 통해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으로 향후 10년 간의 로드맵을 제시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는 2일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광역교통 연구개발(R&D) 로드맵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한국교통연구원, 대한교통학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 광역교통 관련 7개 기관에서 교통분야 전문가 약 100명이 참석했다.

로드맵 수립 연구용역을 맡은 한국교통연구원에서 주제 발표를 하고 패널토론 등을 통해 로드맵 수립(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다.

기존에는 대광위가 도로 및 철도 인프라 등을 조기에 공급하거나 지자체 등 이해관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방식으로 광역교통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했으나 광역교통 기술개발을 통해 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로드맵은 ‘더 빠르고 편리한’,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기술 개발을 목표로 현장에 적용해 광역교통 개선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은 과제 위주로 구성해 실효성을 높였다.

로드맵는 ▲환승센터 통합운영 ▲차세대 철도신호체계 구축 ▲수소트램 실증 운영 ▲도심형 대용량 간선급행버스(BRT) 등의 기술 사례가 담겼다.

환승센터 통합운영을 통해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개인형이동장치(PM), 철도, 버스, 승용차 등 다양한 교통수단 간의 환승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환승플랫폼 개발로 교통약자 최적 동선 등을 제공하는 실내 내비게이션과 재난예측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더 편하고 안전한 환승체계를 구축하고 환승 체감시간도 절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외국산 철도신호시스템 의존에 따른 과다한 비용 등 기술종속 문제를 해결하고 향후 열차운영 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해 차세대 철도 신호 체계도 구축한다.

열차에 설치할 신호통신 시스템과 무선으로 작동하는 선로전환 조정장치 및 열차운행 안정성 등 검증을 위한 시험기 개발을 목표로 한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철도 노선을 연장하거나 새로운 역을 추가할 때 신호체계 개편 비용이 낮아져서 운영 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수소트램을 개발하기 위해 수소트램 시험기준과 RAMS 체계 등도 마련한다. RAMS에는 신뢰성(Reliability)·가용성(Availability)·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안전성(Safety)이 해당된다.

수소트램과 철도시설의 국가 인증기준 마련을 위해 시제차량을 제작하고 수소충전소를 포함한 영업노선에서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개발이 완료되면 대전, 울산시 등에서 도입할 수소트램 사업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BRT 차량의 다양성 확보를 통해 도시 여건과 수송량 등 지역별 특성에 적합한 고품질의 대용량 BR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도 도입한다.

이를 위해 고급 BRT 전용 차량관제 및 사전요금지불 시스템도 함께 개발해 정시성과 편리성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국내 도로여건에 적합한 친환경·고출력 동력장치 등을 개발해 트램과 유사한 수송 능력을 가진 대용량 BRT 전용 차량에 적용할 계획이다.

강희업 국토부 대광위 위원장은 “이번 설명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로드맵 최종안 수립 시 충분히 반영하고 로드맵이 제대로 실현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 협의에 주력할 계획”이라며 “이러한 기술 개발로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 서비스를 공급함으로써 국민에게 여유로운 일상을 돌려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