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멕시코 내 마약 카르텔을 겨냥한 군사·정보 작전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 NBC뉴스는 복수의 현직·전직 미 관리들을 인용해 미군과 정보요원을 멕시코에 투입하는 세부 계획이 수립 단계에 있으며 일부 예비 훈련이 이미 시작됐다고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작전의 핵심은 합동특수작전사령부(JSOC) 소속 특수부대와 중앙정보국(CIA) 요원들이 협력해 드론 등 정밀 타격 수단으로 마약 제조시설과 카르텔 지도부를 겨냥하는 것이다. 이 작전은 법적 근거를 위해 정보작전을 규정한 미 법전 ‘타이틀 50’ 하에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타이틀 50 방식은 군사작전(타이틀 10)과 구분돼 정보기관 주도의 비공개 작전 수행을 허용하는 법적 체계다.
관계자들은 일부 드론 기종의 경우 지상 조종 인력이 필요해 사실상 미 지상요원 투입이 동반될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실제 병력 파견이나 공격 실행이 임박한 것은 아니며, 작전 범위와 시기 등은 아직 최종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구상은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월 멕시코 내 6개 카르텔과 중미 갱단 MS-13, 베네수엘라의 ‘트렌 데 아라과’를 외국 테러단체(FTO)로 지정한 이후 나온 것이다. FTO 지정은 미 정보·안보 당국이 이들 조직을 상대로 첩보활동·비공개 작전을 수행할 법적 기반을 강화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백악관 고위 당국자는 NBC에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민에게 위협이 되는 카르텔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모든 자원을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실제 작전이 승인될 경우 비공개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직 관리들은 전했다. CIA는 보도에 대해 논평을 피했고 국방부는 관련 내용을 백악관에 문의하라고 말했다.
멕시코 정부와의 관계도 이번 논의의 핵심 변수다. 미국은 공식적으로 멕시코와의 협력을 원하면서도, 필요 시 멕시코 동의 없이 단독으로 행동하는 방안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멕시코 정부는 외부 군사 개입에 대해 강력히 반대해 왔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과거 관련 보도에 대해 “어떠한 형태의 개입도 거부한다”고 분명히 밝힌 바 있다. 다만 셰인바움 정부는 이전 행정부들 시절 미국의 정찰비행 확대 허용, 마약 조직 주요 인물 인계 등에서 협력해왔다.
미군이 멕시코에 진입한 것은 역사적으로 극히 드물다. 가장 큰 규모의 사례는 1916년 존 퍼싱(John Pershing) 장군이 멕시코 혁명가 판초 비야(Pancho Villa)를 추격하기 위해 파병한 작전이었다. 이후 미국은 직접적인 군사 개입을 피하는 전통을 유지해 왔다.
NBC는 이번 보도가 트럼프 행정부의 베네수엘라 대상 마약 소탕 작전과 연계된 ‘서반구 전선’ 확장의 일환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보도 직후 미 당국자들은 “계획이 수립 단계에 있고 최종 결정은 내려지지 않았다”는 취지의 설명을 반복했다.

![[속보]국정원 “김정은, 미국과 대화 의지 있어···정상회담 대비 동향 확인”](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04/news-p.v1.20251104.0f641441c3f840a181d360f864c0067f_P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