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으로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 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시장도 급등하며 변동성이 확대됐다. 이는 규제 완화와 자국 우선주의로 대변되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가 반영된 결과다. 새로운 변화를 앞두고 국내 금융시장도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핀테크 및 인공지능(AI) 정책은 산업 진흥과 자국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AI 아메리카 퍼스트'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협력 중심 정책을 철회하고 기술 개발의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미국 내 혁신 기업에 월등한 경쟁 우위를 제공하며, 핀테크와 AI 기반 금융 서비스의 혁신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미국이 글로벌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하는 단초가 될 것이다.
미국의 정책 변화는 국내 금융권과 핀테크 업계에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글로벌 자금이 미국의 기술 기업으로 집중되면, 최근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핀테크는 한층 더 힘든 환경에 직면할 수 있다. 또 AI 기술 격차가 확대될 경우 국내 금융사의 디지털 경쟁력이 약화될 수도 있다. 이런 위기 속에서 국내 금융권은 단순히 최신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국내 시장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전략으로 대응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정책적 대응은 핵심 과제로 부각된다. 금년에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디지털 금융 환경을 개선하는 첫걸음이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국회에서 논의 중인 AI 관련 법안과 증권형 토큰(STO) 도입을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 역시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려면 보다 신속하고 구체적인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 나아가 가상자산 2단계 법제화 등 추가적인 규제 및 제도 정비가 신속히 이뤄져야 하며, 이를 통해 시장의 예측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특히, 산업 진흥과 이용자 보호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한편,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과감한 정책적 결단이 요구된다.
금융권과 핀테크 업계도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 우선,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ICT) 인프라를 기반으로 혁신 금융 서비스를 개발하고, K콘텐츠와 연계한 디지털 자산 플랫폼 구축을 모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소기업 맞춤형 AI 여신평가 모델을 고도화하거나 검증된 보안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한국의 전자금융 및 모바일 뱅킹의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해 동남아 등 신흥국 시장에 서비스를 수출하는 것도 유망하다. 이는 국내 금융권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전략적 접근이 될 것이다.
이러한 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는 촉매제가 되어야 한다. 미국이 규제 완화를 통해 핀테크 생태계 활성화를 추진하는 것처럼, 국내도 스타트업과 핀테크 기업이 창의적 도전을 이어갈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특히,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혁신적인 시도를 충분히 할 수 있는 환경과 실질적인 투자 지원이 결합될 때, 국내 핀테크 생태계는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국내 모든 산업분야가 트럼프의 당선으로 적지 않은 영향이 예상되는 것처럼 디지털금융 지형에도 변화를 예고한다. 국내 금융권은 변화의 파급 효과를 예리하게 분석하고, 우리만의 경쟁력을 확보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와 업계가 긴밀히 협력해 AI와 디지털 경제의 확장, 정보보호 강화, 투자 활성화 등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단순히 국내 금융 산업의 생존을 위한 선택이 아니라, 글로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필연적 과제다.
송민택 공학박사 pascal@apthef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