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또 하나의 티메프를 막으려면

2025-07-02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99.3%는 일반 회생 절차에서도 이례적으로 높은 탕감률입니다. 사실상 '돈을 못 돌려준다'는 통보나 다름없죠."

회생 절차를 취재하던 중 만난 한 변호사의 설명이다. 통상 채무 탕감률은 80~90% 수준에 머물지만, 티몬처럼 부채 규모가 막대한 기업은 인수 의향자가 거의 없어 탕감률이 99%대까지 치솟기도 한다.

1억원을 못 받은 사람은 70만원을, 1000만원을 못 받은 사람은 7만원을 돌려받는 셈이다. 채권자 약 4만 8,000명 가운데는 여러 이커머스 플랫폼에 상품을 공급하는 온라인 전문 유통업자도 있지만, 도매로 물건을 떼 생계를 이어온 1인 사업자‧소상공인이 상당수다.

피해 셀러들이 모인 단톡방에서는 "안 받을테니, 파산하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차라리 파산을 하고 남은 역량을 피해자 구제에 힘쓰라는 취지였다. 검은우산비대위는 "현재 변제율은 피해금액의 일주일치 대출이자만도 못한 금액"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가운데 오아시스가 품은 티몬은 나름대로 새출발을 시작했다. 다시 셀러를 모으고 새벽배송 서비스도 론칭했으며 네이버 배너나 유튜브 숏츠 마케팅도 띄웠다.

오아시스 입장에서는 "지급해야 할 대금은 모두 납부했다"는 분위기다. 티메프 사태에서 오아시스가 잘못한 일도 없고, 티몬 측과의 공정한 합의를 통해 인수 금액도 정해졌으며, 해당 금액을 열심히 벌어들인 현금으로 지불했으니 계산에선 탈 날 것이 없다.

그러나 생계를 잃고 파산 위기에 몰린 셀러들의 불신은 여전하다. "티몬엔 다시 입점하지 않겠다"는 반발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고 있다. 그 화가 애꿏은 오아시스에게로 돌아가기도 한다.

문제는 '넥스트'다. 검은우산비대위는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상태에선 소상공인과 소비자가 고스란히 피해를 떠안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실제로 한 쇼핑몰은 지난 5월부터 정산이 중단돼 '제2의 티메프 사태'가 재현되고 있다.

새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열리는 국회 토론회(10일)는 피해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모으는 출발점이다. 회생 절차 속 '부실 정산'이 반복되지 않도록 법·제도 정비가 무엇보다 시급하다.

mkyo@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