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리드는 하락폭 가장 커…가솔린·디젤 등 평이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올해 상반기 중고차 시장은 캐즘을 극복한 전기차의 상승세가 두드러진 반면, 하이브리드는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카는 올해 1월 대비 7월 중고차 시세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체 중고차 평균 시세는 1939만 원에서 1853만 원으로 약 4.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일하게 전기차만이 0.8% 상승했다고 11일 밝혔다.

가솔린(-4.9%) 디젤(-4.1%) LPG(-4.6%) 등 유종은 평이한 하락세를 보였으며, 하이브리드는 -5.7%로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일반적인 중고차 감가율은 월 평균 1% 내외 수준이다.
2024년 하반기 전기차 화재 여파 및 캐즘으로 인해 하락했던 전기차 시세는 완성차 중심의 신뢰 회복과 소형 전기 SUV 수요 증가 등으로 2025년 상반기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쉐보레 볼트 EUV(+8.2%)는 분석한 모든 모델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KGM 코란도 이모션(+7.9%), 현대 캐스퍼 일렉트릭(+7.1%) 등 소형 SUV 모델 위주로 연초 대비 높은 시세 회복을 보였다. 전기차는 상반기 시세 변동폭이 높았으나, 하반기에는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디젤은 전체 평균 대비 하락폭이 낮았다. 디젤 신차 모델이 단종되며 중고차 시장으로 수요가 유입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 현대 더 뉴 팰리세이드(+5.1%), 현대 더 뉴 아반떼 AD(+4.3%), 현대 i30(+2%) 등은 연초 대비 시세가 되레 상승했다. KGM코란도 스포츠, 현대 싼타페 DM, 기아 모하비 등은 반년 동안 하락 없이 연초 시세를 유지하고 있다.
가솔린 모델은 상반기 시세 하락 폭이 큰 모델이 많았다. 분석한 모든 모델 중 가장 하락폭이 큰 모델은 르노 더 뉴 SM6로 14.3%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쉐보레 올 뉴 콜로라도(-10.8%), 제네시스 GV80 쿠페(-6.4%), 현대 아이오닉5N(-5.6%) 등은 5000만원 이상의 고가 차량 중에서도 평균 이상의 감가율을 보여 가성비가 좋은 모델들로 평가된다.
하이브리드는 구형 모델 중심으로 높은 감가폭을 기록했다. 대표적으로 현대 투싼 4세대 하이브리드(-9.8%), 현대 더 뉴 싼타페 하이브리드(-9.7%), 더 뉴 그랜저 하이브리드(-9.2%) 등이 있다.
조은형 케이카 PM팀 애널리스트는 "올 상반기 중고차 시장은 전기차 시세가 회복되는 한편, 하이브리드 구형 모델은 큰 폭으로 가격이 떨어진 시기"라며 "차량의 용도나 예산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만큼, 시장 흐름만 잘 살펴본다면 더 만족스러운 중고차 구매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