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상문의 화랑담배] 제10회 김일성 ② 유년 시절

2025-11-09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김성주는 아홉 살 때인 1920년 부모를 따라 중국 길림성 장백현 무송(撫松)으로 이사 갔다. 아버지 김형직은 한의원(漢醫員)으로 생계를 꾸렸다. 김성주는 이곳 무송에서 소학교를 잠시 다니다가, 열두 살 때인 1923년 3월 평안북도 대동군 용산면(龍山面) 하리(下里, 또 다른 지명 七谷)에 사는 외가로 왔다. 이곳 마을에 있던 창덕학교(彰德學校) 3학년에 편입하여 1925년 5학년까지 1년 9개월간 다녔다.

창덕학교는 1905년 장로교 하리 교회가 설립한 학교다. 김성주 고향인 남리로부터 2km 떨어져 있었다. 목조 단층 기와집 한 채와 좌우에 두 채의 함석 단층이 학교 건물의 전부였다. 김성주가 재학 당시 교장은 강기수(康紀秀)였고, 외할아버지 강돈욱은 교감으로 있으면서 한문과 성경을 교육했다. 총 6명의 교직원이 재직했다. 북한 정권은, 창덕학교를 현재도 수재급 학생을 선발하여 교육하는 초급중학교로 운영하고 있다.

김성주는 성격이 쾌활하고 남보다 나서는 것을 좋아했다. 외할아버지가 가르치는 한문과 성경 공부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외할아버지 강돈욱이 "한자로는 그 이름을 어떻게 쓰는지 모르는 김일성 장군이 소련과 중국 만주 국경 지역에서 조선 독립을 위해 일제와 용감하게 싸우고 있다"라는 이야기를 수시로 들려주었다. 김성주는 이 이야기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김성주는 열네 살이 되던 1925년 창덕학교를 그만두고, 부모가 살고 있던 무송으로 다시 왔다. 이듬해 1926년 무송에서 북쪽으로 60km 정도 떨어진 화전(樺甸)이라는 지역에 있는 화성의숙(華成義塾)에 들어갔다. 의숙(義塾)이란, 옳을 의(義)와 학문을 가르친다는 뜻의 숙(塾) 자로 된 단어다. 공익을 위하여 의연금(義捐金: 사회적 공익을 위해 내는 돈)으로 세운 교육기관을 말한다.

화성의숙은 정의부가 세웠다. 정의부는 남만주(南滿洲) 화전(樺甸)에 본부를 둔 독립운동 단체였다. 남만주는 압록강 북쪽 지역과 두만강 건너 서쪽 일부 지역을 남만주라고 불렀다. 남만주 지역 중, 압록강 대안(對岸) 서쪽으로부터 동쪽으로 안동, 집안, 통화 일대는 임시정부 직할 성격의 참의부가 독립전쟁을 수행하고 있었다. 지금의 흑룡강성 지역인 북만주에는 신민부가 있었다.

김성주는 화성의숙에 입학할 때 아버지 김형직으로부터 "나는 네가 의병대장 김일성 같은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라는 말을 들었다. 김성주의 눈이 갑자기 번뜩였다. "네? 김일성? 축지법을 쓴다는 김일성 장군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외할아버지 강돈욱으로부터 들었던 김일성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하지만 김성주는 1926년 봄날 화성의숙에 입학한 지 몇 달이 안 돼 그만두었다. 아버지 김형직이 1926년 여름 공산주의자에게 살해되었기 때문이었다.

김형직은 암살될 당시 민족주의 독립운동 단체인 정의부에서 만든 백산학교(白山學校) 사업에 관계했다. 백산학교는 만주 지역으로 건너온 한인 청년들을 모집하여 독립군으로 양성하는 무관학교 기능을 수행했다. 학교장은 함경남도 함흥 출신 1881년생 김호(金虎)였다. 김호는 1907년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된 후, 함경도 북청⋅삼수 일대에서 독립전쟁을 수행한 의병 출신이었다. 만주로 건너와서도 줄기차게 독립군을 양성하여 일본군과 싸운 인물이다.

한의(漢醫)이었던 김형직은 1925년 기준으로 연간 소득이 1000엔 정도였다. 이 액수는 만주에서 수년간 벌어야 얻을 수 있는 평균 소득보다 높았다. 길림성 장백현 전체에서 최고의 부자였다. 부유한 생활을 하는 김형직은 백산학교에 군자금을 지원하고, 독립군에게는 약도 주고 치료도 해주었다. 그러나 공산주의자는 만나지도 않고, 공산주의자들이 요구하는 돈도 주지 않았다. 이에 앙심을 품은 공산주의자가 김형직을 살해한 것이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