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치르는 동안 경주의 밥상이 단연 화제였다. 각국 정상의 식탁에는 무엇이 올랐을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맞춤 주문으로 탄생한 ‘트럼프 버거’부터 시진핑이 맛본 해물파전, 이재명 대통령이 음미한 케이크까지, APEC 기간 주요 정상이 먹고 마신 것을 따라가 봤다. 그림의 떡이 아니라, 지금 경주에서 누구나 사 먹을 수 있는 음식들이다.
트럼프 치즈 버거

이번 APEC에서 가장 화제가 된 음식은 햄버거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리더스 만찬’에 앞서, 힐튼 경주 호텔의 주방에 햄버거를 요청했다. 마침 로비 라운지 메뉴에 ‘베이컨 치즈버거’가 있었지만, 트럼프의 취향은 아니었다. 버거 소스와 베이컨은 아예 빼고, 채소는 따로 담고, 감자튀김용 케첩은 넉넉히 담은 ‘트럼프 버거’가 탄생한 배경이다.
힐튼 경주 이용승 부총주방장은 “재료를 덜어냈지만, 본연의 맛에 가장 충실한 버거”라며 “만찬용 스테이크와 패티 모두 굽기는 핏기없이 바싹 익힌 ‘웰던’을 선호했다”고 귀띔했다.
트럼프 버거에 관한 문의가 폭증하자, 힐튼 경주는 7일부터 ‘트럼프 치즈버거 세트’를 정식 메뉴로 내놨다. 감자튀김과 하인즈 케첩 3개, 콜라를 포함해 3만5000원을 받는다.
미국 대통령 버거가 화제가 된 게 처음은 아니다. 웨스틴 조선 부산에는 ‘프레지던트 버거(3만30000원)’가 있다. 2005년 부산 APEC 기간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을 위해 맞춤 개발했던 메뉴로, 지금도 인기 메뉴로 통한다.

시진핑 주석이 경주 코오롱호텔에 묵으며 맛본 갈비구이(4만원)와 해물파전(5만원)도 15일 정식 판매에 들어간다. 예사 갈비와 파전이 아니다. 갈비는 경주 특산 ‘천년한우’ 중에서도 미경산(출산 경험 없는 암소)만 쓴다. 경주 코오롱호텔 조소앙 셰프는 “설탕 금지 요청이 있어, 1978년 호텔 개관 때부터 이어온 특제 소스에 갈비를 재워 맛을 냈다”고 말했다.
해물파전은 코오롱 그룹 식음팀과 전국 코오롱호텔의 셰프들이 APEC을 앞두고 개발한 신메뉴다. 경주산 파 위에 전복·관자·대하·낙지가 아낌없이 올라간다. 2단계의 숙성 과정을 거친 반죽을 사용하는데 이른바 ‘겉바속촉’한 식감이 핵심이다.
가성비 메뉴도 있다

식전 건배주 ‘월지의 약속’, 동해 해산물 전채 요리, 오색전, 캐나다산 바닷가재와 경주산 안심 스테이크, ‘월명 케이크’와 ‘보리 가배’.
한국·캐나다 정상 오찬에 오른 음식이다. 당일만 제공한 특선 메뉴라 대부분 그림의 떡이지만, 예외도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경험한 디저트는 소노캄 경주 호텔 로비 라운지의 시그니처 메뉴여서 누구나 맛볼 수 있다.
둥근 달 모양의 월명 케이크(1만2000원)는 새콤한 라즈베리 필링이 숨어 있는 무스케이크다. 소노캄 경주 김민수 셰프는 “어둠 속에서 새벽빛이 번지는 모습을 초콜릿 무늬로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정상 오찬과 영부인 차담회는 무알코올·무카페인이 원칙이었기에 경주 특산 찰보리를 볶아 커피처럼 내린 곡물차 보리 가배(1만1000원)가 올랐단다.

진귀한 특선 메뉴만 빛을 본 건 아니다. 라한셀렉트 경주에선 푸드 코트 형식의 캐주얼 레스토랑 ‘마켓338’의 음식이 룸서비스로 올라갔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즐긴 ‘육회비빔밥(1만9000원)’과 ‘콰트로 치즈 화덕 피자(2만5000원)’가 대표적이다. 이번 APEC 최고의 가성비 메뉴라 할만하다.
라한셀렉트 경주는 연말까지 ‘프레지덴셜 스위트 웨스트’ 패키지(74만원부터)도 판매한다. 다카이치 총리가 머문 최상급 객실 1박에 ‘광주요’ 2인 다기 세트, 나정명차, 조청 유과 등이 포함돼 있다. 로비의 북카페 ‘경주산책’에서는 11월까지 APEC 주요 회원국의 대표 서적을 큐레이션해 선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