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제조업 신규 일자리 감소, 내수 경기 침체 영향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 등 일부 산업에선 증가세
대선 후보들, 고용 문제 해결 방안은 미비

고용 시장에 악화된 기조가 지속되면서 신규 일자리가 11분기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경기 불황과 내수 침체, 기업들의 신규 채용 회피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와 관련한 대선 후보들의 고용 공약은 고용 위기 해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22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기준, 신규로 창출된 임금 근로 일자리는 244만4천개로 전년 대비 10만8천개가 줄었다. 이는 2018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은 수치로, 분기별로 보면 2022년 2분기부터 11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신규 일자리는 기업체 생성이나 사업 확장 등으로 생겨난 일자리를 의미하는데, 이 수치가 감소한 것은 기업들이 신규 인력을 뽑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기 부진과 대내외 불확실성의 확대, 그리고 경제 성장률 둔화 등이 맞물려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산업별로 보면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신규 일자리 감소가 두드러졌다. 건설업의 신규 일자리는 지난해 4분기 45만3천개로, 전년보다 5만8천개 감소했으며, 이는 2023년 2분기 이후 7개 분기 연속 감소세에 있다.
제조업 역시 신규 일자리가 3만8천개 감소하며 11분기 연속으로 줄어들었다.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올해 1∼4월 동안 15.5%를 기록하며 역대 최저치를 찍었다.
이와 같은 상황은 건설업과 제조업이 오랜 불황에 빠져있고, 제조업 경기 회복이 반도체 중심으로 진행되며 고용 유발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로 여겨졌던 건설업과 제조업의 고용 시장이 직격탄을 맞고 있다.
내수 경기 침체가 영향을 미친 업종도 있다. 숙박 및 음식점업 신규 일자리는 1만3천개 줄었고, 도매·소매업에서도 1만6천개가 감소했다. 이는 2년 연속 저성장 국면에 접어들고,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까지 더해져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 신규 일자리가 4만3천개 증가했지만, 이 산업은 공공일자리와 단기·임시직 비중이 높아 고용의 질을 따질 때 양질의 일자리로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많다.
이처럼 고용 시장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대선에서 고용 문제를 해결할 구체적인 방안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공정한 노동환경 보장과 산재보험 제도 개선, 하청노동자 교섭권 보장 등을 내세웠지만, 고용 불안 해소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대기업 신입 공채 도입을 장려하는 등의 공약을 제시했으나, 전반적인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전략은 미흡한 상태다.
[전국매일신문] 김지원기자
kjw9190@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