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일러 스위프트급 톱가수가 공연할 수 있는, 5만 석 이상 규모의 대형 아레나를 국내에 만드는 것이 최근 대중음악계의 화두다. K팝 가수는 물론 해외의 유명 스타들이 공연 무대가 없어 한국 시장을 외면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일부에서는 너무 큰 공연장은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한 문화계 인사는 “가수들이 보통 사흘 공연한다고 하면 5만 석 아레나를 채우려면 총 관객 15만 명을 동원해야 한다. 국내에 그럴 만한 가수가 몇 명이 되나. 그런 아레나가 있으면 좋지만 평소에 제대로 활용이 안되는 것은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그래서 국내 가수들의 일반적인 관객 동원 상황에 대해 물어봤다. “모르겠다. 통계가 없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갑자기 이런 5만 석 이상 대형 아레나 이야기가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지난달 30일 서울 종로구 예술경영지원센터 아트코리아랩에서 진행된 ‘함께 만드는 예술정책 이야기’ 토론 시리즈의 첫 행사로 가진 공연예술통합전산망 발전 방안에 대한 토론회에서였다.
현재 추진 중인 ‘예술경영지원센터 공연예술 통합전산망’은 현재 그나마 잘 운영되고 있다는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의 공연 버전이다. 각종 공연 실적을 실시간으로 자세히, 투명하게 공개하는 목적에서 고도화되고 있는 사업이다. 다만 ‘투명 공개’라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인 것은 아닌 모양이다. 단일 분야인 영화와는 달리 여기서 말하는 공연에는 다양한 분야가 섞여 있다. 이해관계도 각자 다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가 주최한 이날 토론회에서 분야별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클래식, 연극, 대중음악, 전통예술, 뮤지컬 등 5대 분야의 업계 관계자가 토론에 참석했는데 공연예술통합전산망 구축 및 정보공개 확대, 고도화에 대한 입장이 갈렸다. 대체적으로 보면 공연계에서 클래식과 연극, 뮤지컬 관계자는 “찬성”이고 대중음악과 전통예술은 “반대”였다. 이유도 각자 다르고 흥미롭기도 했다.
찬성하는 입장에서 클래식은 연주자의 관객 동원력이 투명해지면 개런티 책정이 올바르게 된다는 기대 때문이고 뮤지컬은 산업으로서 투자유치를 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투명한 시장과 실적이라는 이유에서다.
반면 반대 측은 이를 정부의 새로운 규제로 인식했다. 전통예술은 주로 정부의 보조금 지원에 의존하는데 부진한 결과가 드러날 경우 경우에 따라 지원이 깎일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았다. 대중음악계 관계자는 아예 “절대 반대”였다. 반대 논리는 “관객 숫자로 아티스트, 즉 가수를 줄 세우면 안된다”는 것이다. 지금도 팬들 사이에 ‘누가 낫다’ ‘누가 못하다’는 소란스러운 논란이 있는데 이것이 심각해진다고 주장했다. “한국 말고 세계 어느 나라도 아티스트의 영업비밀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날 토론회를 보면서 아레나와 관련해서 느낀 점은 그렇다. 대중음악 가수의 관객 동원 수준이 파악되지 않는다면, 즉 막대한 국가 예산을 투입해 대형 아레나를 건설하고 어떤 실익이 나오는지 어떻게 판단하느냐는 것이다.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대형 아레나를 왜 빨리 만들지 못하느냐에 대한 질문이 나온 바 있다.
한국이 문화에서도 ‘자유방임’이라면 정부가 나서서 정보공개, 투명성 등을 강제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하지만 오늘도 문화계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대형 아레나 조성계획에 대한 문화체육관광부의 공식 의견은 지난 6월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나온 것으로 “내년인 2026년 기초조사 연구에 들어가 2030~2032년 공사 실시 및 완공”이다. 정작 이재명 정부 임기 내에 공연 현장을 볼 수 없다는 “다소 한가한 내용”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동안 국내 문화계는 정보에 대한 불투명으로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했다. 그나마 최근 정부가 적극 나서면서 영화와 공연(공연예술 통합전산망), 출판(출판유통 통합전산망)에서 어느 정도 정보 취합 및 공개가 이뤄지고 있지만 여전히 아쉬운 점이 많다. 반면 정부가 왜 시장정보를 쥐고 흔드냐는 불만도 있다. 앞서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구축에는 1000억 원 이상이 투입됐다는 데 이의 정당성을 두고서도 설왕설래다.
미술은 또 다른 전선이다. 미술진흥법 신규 제정과 함께 ‘미술 서비스업 신고제’ 도입과 ‘미술시장 정보시스템(K-ART MARKET)’ 고도화 등도 논쟁거리다. “투명한 시스템이 시장을 크게 만들 것”이라는 것이 정부의 주장이지만 창작의 자유 제한과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관련 업계의 우려는 계속되고 있다.
물론 대부분의 찬반 논의는 주로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 진행된다. 토론에서 이런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 입장은 별반 거론되지도 않는다. 영화든 공연이든 소비자 입장에서는 정보공개 확대가 더 낫지 않을까. 물론 영화관 정보가 거의 완벽하게 공개된다고 해서 최근 영화(극장용 영화) 시장의 침체를 반전시키지는 못하는 딜레마도 없지 않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박물관 상황도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진행된 2025년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립중앙박물관의 “500만 관람객 시대에 외국인은 왜 이렇게 적나(전체의 3.7%에 불과)”에 대한 지적에 박물관 측은 현재의 무료 관람 상황에서 ‘막' 통과하기 때문’에 외국인 집계가 잘 안되고 있다면서 아예 예약제 도입 등 고객관리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겠다는 대응책을 내놓았다. 예약제 도입 논의는 곧 국공립 박물관·미술관의 재유료화로 이어질 수 있는 민감한 주제다. 하지만 박물관 관람객에 대한 통계를 확보해야 한다는 대의가 우세한 상황이다.

![[2025 렉서스 마스터즈] 16H ‘마스터즈 라운지’서 나오는 음악… 선수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곡은?](https://www.newsgg.net/data/photos/portnews/202511/20251102133835-63449.jpg)
![[지방팬 생존기] ②"환호 대신 클릭으로"⋯같은 마음 다른 방식](https://cdn.jjan.kr/data2/content/image/2025/11/01/.cache/512/20251101580007.jpg)






![이번에는 진짜일까…한한령 해제 기대에 엔터 업종 주가 강세[줍줍리포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6K9YQP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