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인코리아닷컴 마은재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 5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2023년 11월 독일 SOFW Journal과 업무제휴를 체결하고 2024년 1월호부터 SOFW Journal 한국판을 제작하고 있다. 독일 SOFW Journal은 1874년 창간호가 발행돼 올해로 151년의 역사를 자랑하고 있는 홈&퍼스널 케어 전문 저널이며 화장품, 바디케어, 세제, 향수, 화학 특수 제품의 제형에 관한 광범위한 스페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2025년 5월호 테마기획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시자료인 사업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화장품 OEM ODM 관련 105개 업체의 지난해 경영 실적을 분석했다. 국내 화장품 OEM ODM 관련 105개 업체의 전체 매출액은 10조 758억 원으로 전년 8조 5,144억 원과 비교해 18.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473억 원에서 7,457억 원으로 66.7%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1,233억 원에서 4,867억 원으로 세 자릿수 증가세(294.8%)를 기록했다.
국내외 화장품 시장에서 인디 브랜드가 두각을 나타내면서 이들을 고객사로 하는 국내 화장품 OEM ODM 기업들이 실적을 끌어올린 것이다. 국내 화장품 OEM ODM 기업들은 생산능력(CAPA)은 물론 연구개발(R&D)을 통해 독창적이고 트렌디한 제품을 선보이며 인디 브랜드 열풍의 수혜를 톡톡히 누리는 모습이다.
퍼스널 케어는 ▲샤워 거품의 양: 다양한 관능 패널 평가와 표준화된 기기 측정의 상관 관계 ▲웰빙 & 뷰티: 감정 표현과 특성화 ▲향료의 안전한 사용 : 향료 업계가 책임감 있고 자발적으로 스스로를 규제하는 방법 ▲지속가능한 처방 개발 - 전체적인 접근법 ▲화장품에서 레올로지(유변학)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폴리머의 특성 파악부터 제형화까지 등의 전문 연구결과를 게재했다.
신원료 신소재 코너에서는 ▲Vegan PDRN series: 동물성 PDRN 대체 Vegan PDRN ▲람부탄 껍질의 힘: 민감성 피부를 위한 자극 완화 솔루션 ▲여름 피부, 식물로 리셋하다 - 싱아(Koenigia alpina)의 스킨 리커버리 솔루션 등의 연구결과를 밝혔다.
비건 뷰티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트렌드에 따라 동물성 PDRN을 대체하고자 모아캠에서는 Vegan PDRN을 개발했다. EWG Green 원료만 사용하고 동해 고성 청정 심해의 해양심층수에서 생산한 Deep Sea Salt를 사용하며 DNA 추출과 분리 기술을 적용해 Ginseng PDRN, Rice PDRN을 개발했다. 또 미백(Ginseng PDRN)과 항산화(Ginseng PDRN, Rice PDRN) 효능을 확인했다.
엑티브온에서는 친환경적인 NADES추출 방법을 통해 람부탄 껍질로부터 우수한 염증과 자극 완화 효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인 엘라지탄닌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구축했다. 이는 기존 유기 용매나 열수추출에 비해 효과적이며 안전한 방법으로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엔비바이오컴퍼니에서는 여름철 피부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천연 유래 소재로 ‘싱아(Koenigia alpina)’에 주목했다. 싱아는 예로부터 민간 약용식물로 활용돼 온 식물로 본 연구를 통해 항산화, 항염증 그리고 피부 재생과 관련된 다양한 생리활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세미나 지상중계 코너는 지난 4월 22일 킨텍스 제2전시장에서 진행된 ‘2025 화장품 신기술 신제형 연구개발(R&D) 동향 세미나’의 핵심 내용을 정리했다. 이날 세미나는 화장품 연구개발자, 상품기획자, 학계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가 해 화장품 연구개발 최신 동향을 공유했다. 세미나는 마이크로RNA, 엑소좀, 마이셀, 레티놀 등 화장품 신소재, 신기술, 신제형을 주제로 한 다양한 발표가 진행됐다.
화장품 특허 정보 코너는 2024년 12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특허 동향을 업체별, 기관별, 개인별, 해외 등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공개된 화장품 분야의 특허 건수는 총 132건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82건을 기업체에서 공개해 전체의 62%를 차지했으며 전월의 33%에 비해 2배 정도 증가했다.
이어서 대학 산학협력단도 24건으로 18%를 차지해 전월에 비해 2배 증가했다. 그러나 12월에 해외 기업체가 공개한 특허 건수는 9건(7%)에 불과해 전월의 57건(41%)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2024학년도 2학기 화장품분야 박사학위 논문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RISS(www.riss.kr)에서 검색한 19개의 논문 중 5편을 게재했다. ▲소비자의 가정용 피부미용기기 정보행동 특성, 소비자 혼란과 소비자 기대가 구매지연과 구매후회에 미치는 영향(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생활문화소비자학과 김예정) ▲Red LED 조사와 아로마 마사지가 목·어깨 통증 완화 및 목 피부에 미치는 개선 효과(건국대학교 대학원 화장품공학과 양양)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kin Improvement Efficacy Study of Drug in Cyclodextrin in Liposome (DCL) System(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생명공학과 최형) ▲먼셀 기본색과 아이쉐도우 범용색을 적용한 아이쉐도우에 대한 젠더별 뇌파와 감성반응(숭실대학교 대학원 화학공학과(일원) 최남식) ▲인도네시아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이 한국 자연주의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류 선호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역학과 박광열) 등이다.
물류 시리즈는 AI 시대의 화장품·뷰티산업과 물류의 미래에 대해 살펴본다. AI는 화장품 산업에 있어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고객 경험 전체를 설계하고 완성하는 게임 체인저가 되고 있다. 초개인화, 디지털 몰입 경험, 지속가능 물류, 데이터 윤리에 이르는 모든 요소를 ‘얼마나 빠르고 정교하게 구현할 수 있는가’가 향후 뷰티 브랜드의 생존과 성장을 결정짓는 결정적 기준이 될 것이다. 지금 우리는 단순한 변화의 순간이 아니라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질서(New Order)가 시작되는 기점에 서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국내 화장품 산업 발전을 위한 화장품 연구개발 마케팅 전문 저널로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원료, 부자재, OEM ODM, 임상시험, 기계설비 등 관련 분야의 전문적인 지식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를 제공하고 있다.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등 전국 유명 대형서점과 예스24, 인터파크, 도서11번가, 알라딘, 갓피플 등 유명 인터넷 서점 등에 종이책과 전자책(e-book)이 배포돼 온-오프라인에서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다.
특히 전자책(e-book)은 반응형 HTMLS 이북 솔루션으로 ▲목차 ▲전체화면 ▲북마크 ▲검색 ▲동영상 ▲링크 ▲인쇄 ▲확대/축소 ▲전체보기 ▲보관함 ▲메모 ▲양면페이지 ▲슬라이드쇼 ▲페이지 이동 ▲설정 등의 기능을 장착하고 있다. PC와 테블릭PC, 노트북, 모바일(핸드폰) 등에서 언제, 어디서나 바로 손쉽게 볼 수 있다. 이북(e-book) 구매시 10% 추가 할인혜택을 주며 이북 1년 정기구독시 20%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