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민재 기자 ltjang@kyeonggi.com
기자페이지

오는 10월 인천에서 열리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에서 논의하는 재무·경제 방향이 앞으로 5년간 '인천플랜'으로 불리며 인천을 알릴 전망이다.
유정복 인천시장과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정부서울청사 무궁화홀에서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의 성공적인 개최와 실무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이번 회의는 오는 10월20~23일까지 인천 중구 영종 인스파이어에서 열린다. 회의 주제는 역내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재정·금융 혁신 및 구조개혁이다. APEC 21개 회원국의 재무 및 구조개혁 장관과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B) 등 주요 국제기구 대표 등 약 2천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회의의 환영 만찬 공동 주관, 인천홍보관 및 기업 전시관 운영, 관광 프로그램 제공, 의료·수송 등 지원 체계 구축, 온·오프라인 홍보 강화 등을 맡기로 했다. 또 기재부는 회의의 세부 실행계획 수립과 전체 운영을 총괄한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2015년 필리핀 APEC 재무·구조개혁장관회의에서 채택한 ‘세부 액션플랜(Cebu Action Plan)’의 후속 로드맵을 발표한다. 참가자들은 회의 뒤 '인천플랜' 명칭으로 재무·경제 방향을 제시한다.
기재부 관계자는 “인천플랜은 역내 경제정책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APEC 회의와 문서를 통해 지속적으로 인천시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일 것”이라고 했다.
구 부총리는 “올해는 지난 2005년 이후 20년만에 한국이 APEC 의장국을 맡은 중요한 해”라고 말했다. 이어 “기재부와 인천시가 더욱 긴밀히 협력해 한국의 국제행사 역량을 국제사회에 각인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유 시장은 “지난 2015년 세부 액션플랜이 끝나면서 새 로드맵의 명칭을 인천플랜으로 정한 것은 인천의 중요성과 가치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했다. 이어 “기재부와 협력해 이번 회의를 성공적으로 치르고 정상회의의 밑거름이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지난 7~8월에도 APEC 제3차 고위관리회의(SOM3)를 포함한 200여개 회의를 개최하며 MICE(국제회의) 도시로서의 역량을 과시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