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잠든 거인을 깨울까. 올해 1월 중국의 가성비 AI 모델인 ‘딥시크’ 충격 이후 투자자들은 중국 증시 투자에 다시 관심을 갖게 됐다. 일단 시장의 기대감은 크다. 중국의 경우 인재, 인프라, 데이터 등 AI 발전을 위한 기초체력에 정부의 강력한 지원이라는 모멘텀까지…갖춰야 할 요소는 모두 갖춰서다.
지난해까지 미국 기술(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내놓기 바빴던 국내 자산운용사들도 올해 들어선 중국 테크 기업들에 눈을 돌리고 있다. 최근엔 중국 테크 기업에 투자하는 ETF 4개가 한날(5월 13일)에 상장되기도 했다. 하지만 여전히 중국 투자가 망설여지는 것도 현실이다. 홍콩H지수연계 주가연계증권(ELS) 상품 등에서 손실을 본 경험이 생생한 데다, 중국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도 부족하다.
그래서 머니랩은 ETF 가운데 ‘KODEX 차이나AI 테크액티브’를 운용하는 김천흥 매니저와 ‘TIMEFOLIO 차이나AI 테크액티브’를 운용하는 김남호 매니저를 만나 중국 테크주 투자 기회를 점검해 봤다. 이들은 각각 ‘KODEX 미국AI소프트웨어TOP10’ ‘TIMEFOLIO글로벌AI인공지능액티브’ 등 미국 테크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ETF도 운용하고 있다. 과연 지금 한국과 미국 주식을 넘어 중국에까지 투자하는 게 현명한 판단일까. 홍콩·싱가포르 현지와 교류하며 중국 기술주를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두 전문가들의 명쾌한 논리에 귀기울여보자.

이런 내용을 담았어요
📍Point 1 중국 투자의 큰 그림
-중국 증시 전망
-미국 있는데 굳이 지금 중국에 투자해야 할까
📍Point 2 중국 투자의 실전
-중국, AI 주도주는 이곳
-운용 전략으로 보는 중국 ETF
자산운용사마다 중국 ETF 상품을 잇따라 내고 있다. 중국 증시 전망이 좋아서인가.
김천흥 매니저 : 전반적인 상황은 지난해보다 좋은 게 사실이다. 중국 경제와 부동산 경기가 예전보다 좋을 거란 기대감이 있고,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도 확인한 상태다. 중국 증시는 ‘딥시크’와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가 주목받으며 올해 초 성과가 좋았다. 이런 이벤트가 또 나온다면, 개별 섹터가 다시 강한 흐름을 보일 수 있다. 예컨대 반도체 섹터에서 엔비디아를 대체할 만한 AI 가속기를 확보했다는 호재가 나온다면, 매크로 이슈와 별개로 반도체 섹터 주가가 크게 상승할 수 있다.
김남호 매니저 : AI 투자 사이클이 미국에서 중국으로 크게 넘어올 수 있는 시점이라고 본다. 지금 시점에는 다른 글로벌보다 차이나AI액티브 ETF가 좀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고 보는 이유다. 글로벌AI ETF는 과거에는 엔비디아 등 특정 종목의 비중이 20%대로 높았지만, 지금은 커봤자 7~8% 수준으로 종목 집중도가 많이 떨어졌다. 과거 엔비디아처럼 매력적인 종목이 눈에 띄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에 중국은 매력적인 종목이 많아 보인다. 게다가 딥시크 이후 중국 AI 관련주들이 급등한 후 관세 이슈로 조정받은 상태다. 기업의 펀더멘털이 튼튼한 상황에서 조정받은 만큼, 단기적으로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중국 AI 기업들의 경쟁력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나.
김남호 : 중국 기업들의 기술력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까지 커졌다. 딥시크만 해도 성능은 뛰어난데 비용은 훨씬 절감된 모델이다. 중국 AI 기업들은 규모도 커졌고 자체 경쟁력을 갖춘 회사도 많아졌다. 중국 내수 기반의 AI 생태계에서도 자립할 수 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