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2026학년도 정시 합격선 예측 불가…대학 81곳, 지난해와 전혀 다른 방식으로 공개”

2025-11-23

2025학년도 정시 합격점수를 공개한 대학 대부분이 2024학년도와 다른 방식으로 발표해, 올해 수능을 치른 수험생의 정시 합격 예측이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23일 종로학원이 지난해 정시 합격점수를 발표한 99개 대학을 분석한 결과 81개 대학(81.8%)에서 2024학년도와 다른 기준의 합격점수 기준점을 공개했다. 9개 대학은 자체 환산점수로, 72개 대학은 과목별 백분위 점수로 공개했다.

서울 지역 42개 대학 가운데 2024학년도와 다르게 발표한 대학은 34곳이었다. 자체 환산점수로만 공개한 대학은 6곳, 국어·수학·탐구 과목별 백분위 점수를 공개한 대학은 28곳, 직전 연도와 동일하게 국·수·탐 합산 평균 백분위 점수를 공개한 대학은 8곳이었다.

서울대·연세대·고려대만 비교해도 공개한 합격점수 기준이 모두 다르다. 서울대는 2025학년도 신입생 정시 합격점수를 자체 환산점수로만 공개했고, 연세대는 과목별 백분위 점수를 제시했다. 고려대는 직전 연도와 동일하게 국어·수학·탐구 합산 평균 점수로 공개했다.

통상 의대 정원 확대 전인 2024학년도 이전까지 각 대학의 정시 합격점수는 최종 등록자 기준으로 학과별 국어·수학·탐구 합산 평균 백분위 70%컷을 기준으로 했다. 수험생은 이를 토대로 합격자의 평균 점수를 추정할 수 있었다.

2025학년도 신입생 합격점수 발표에서는 과목별 커트라인 점수를 공개하면서 해당 학과 커트라인 선상에 있는 합격자 점수를 알 수 없게 됐다. 기준점이 다르다 보니 같은 대학 내에서도 학과별 점수 변화를 전년도와 비교할 수 없고, 대학, 학과 간 위치 확인도 가늠이 힘들어졌다.

올해는 의대 모집 정원이 원상 복귀되면서 대폭 줄었고, '사탐런' 현상 강화로 탐구 과목 변수가 커졌다. 절대평가인 수능 영어가 어렵게 출제되는 등 변수에 변수가 더해진 상황에서 수험생은 정시 합격점수 예측이 한층 더 어려워졌다.

여기에 의대 모집 정원 증가로 합격점수에 변화가 컸을 것으로 예상되는 2025학년도 정시 합격점수 방식이 크게 달라지면서 올해 정시 합격점 예측을 더욱 불투명하게 만들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2026학년도 수험생은 대학의 합격점수 기준점이 달라진 것을 인식하고 데이터를 봐야 한다”며 “발표 방식이 대체로 일치하는 2024학년도 이전 데이터와 2025학년도의 달라진 합격점수 기준 등을 종합적으로 정교하게 분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