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향에서] 출간의 기쁨, 고향의 품에서 다짐으로

2025-09-10

지난 8월, 필자의 책 『두 번째 기회를 위한 변론』 출간기념회를 가졌다. 오랜 고민 끝에 세상에 내놓은 첫 책이었기에 필자에게는 벅찬 날이었지만, 정작 가장 큰 감동은 책이 아니라 사람들의 존재에서 왔다. 고향 친구들, 고등학교 은사님들, 그리고 수많은 지인이 자리를 함께해 주었다. 수백 명이 모여 보내주신 응원은 책 출간이라는 개인적 사건을 넘어선 공동의 축제가 되었다.

사실 출간기념회는 필자에게는 처음 일이었다. 다행히 후배 여성 변호사들이 발 벗고 나서서 준비를 도와주었지만, 그래도 부족한 게 너무 많았다. "사람들이 과연 올까?" "준비가 미흡해서 실망하게 하는 건 아닐까?" 온갖 걱정이 머릿속을 맴돌았다.

행사 당일, 철저한 준비를 위해 3시간 일찍 행사장에 도착했다. 그런데 행사 시작 1시간 전부터 지인들이 한두 분씩 오시기 시작하더니, "사인 좀 해주세요"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점점 늘어났다. 예상치 못하게 긴 줄이 형성되었고, 계획했던 마지막 준비는 물 건너가고 말았다.

그날 행사장은 고향에서 열차를 타고 올라오신 고등학교 은사님들부터 고등학교 동창들, 고향 친구들과 선배님들까지 수백 명이 빼곡히 자리를 메워주셨다. 필자를 키워준 고향의 모든 분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이었다.

서울에서 오랜 세월 변호사로 살아오며 고향을 자주 찾지 못했다. 마음속에 늘 미안함이 남아 있었는데, 이번 자리에서 보여주신 따뜻한 마음은 필자에게 큰 울림이 되었다. 오랜만에 뵌 은사님의 눈빛은 학창 시절의 기억을 되살렸고, 친구들의 격려는 고향의 정을 다시금 일깨워주었다. 그날 필자는 자신이 어디에서 출발했고 무엇으로 성장했는지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책은 필자가 13년간 파산관재인으로 활동하면서 얻은 경험과 성찰의 산물이다. 2400여 명이 넘는 채무자들을 만나며, 빚 때문에 삶의 터전을 잃은 이들의 절망과 희망을 가까이에서 지켜봤다. 실직과 병환, 사업 실패, 돌이킬 수 없는 선택들…. 사연은 제각각이었지만, 모두에게는 절망의 끝자락에서도 다시 서고자 하는 간절한 의지가 있었다.

우리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한 '파산=인생의 끝'이라는 편견을 바꾸고 싶었다. 파산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며, '두 번째 기회'라는 제도의 참된 가치를 알리고 싶었다. 그 마음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지만, 집필 과정은 결코 순탄하지 않았다. "과연 이런 이야기를 세상에 내놓아도 될까?" 수없이 망설이고 주저했다.

그런 필자에게 고향은 언제나 든든한 버팀목이었다. 어린 시절의 기억과 은사님들의 따뜻한 가르침이 책을 출간하는 힘이 되어주었다. 이번 출간기념회에서 고향의 은사님들과 친구들, 선배님들이 보여주신 환대와 격려는 이 책이 단순한 개인의 기록을 넘어 '다시 시작할 수 있다'는 사회적 희망의 메시지임을 확인시켜 주었다.

걱정 반 설렘 반으로 준비했던 첫 출간기념회가 이렇게 성황리에 마무리될 수 있었던 것은 순전히 바쁜 중에도 시간내어 도와준 후배 여성 변호사들과 참석해 주신 고향의 모든 분들 덕분이었다. 특히 행사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켜주신 은사님들과 친구들, 선배님들의 정성과 사랑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출간의 기쁨은 언젠가 옅어지겠지만, 그날 고향에서 받은 뜨거운 응원과 격려는 오래도록 가슴에 남을 것이다. 필자는 다짐한다. 앞으로도 인생의 벼랑 끝에 선 이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돕는 일을 멈추지 않겠다고. 그리고 그 길 위에서 언제나 고향과 고향 분들의 이름에 부끄럽지 않은 사람이 되겠다고 말이다.

왕미양 한국여성변호사회 회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간의 기쁨 #고향의 품에서 다짐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