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팀을 망가뜨리는 행동은 허용하지 않는다. 운동 시간만은 철저하게.”
프로농구 창원 LG를 3년 만에 하위권에서 챔피언으로 변모시킨 조상현 감독(49)의 확고한 첫 메시지였다. 이 원칙이 창단 28년 만의 첫 우승 역사를 만들어냈다.
연세대 출신으로 1999년 드래프트 1순위로 프로에 입문한 조 감독은 선수, 코치, 감독으로 모두 우승한 프로농구 역대 세 번째 인물이다. 선수 시절 SK(1999~2000시즌), 코치 시절 오리온스(2015~2016시즌), 그리고 감독으로 LG(2024~2025시즌)에서 우승하며 3개의 왕관을 썼다.
20일 서울 중구 정동에서 만난 조 감독은 “나는 기회를 준 것뿐이고 선수들이 가치를 만들었다”며 우승의 공을 선수들에게 돌렸다. 하지만 그가 LG에 심은 챔피언 DNA는 분명했다.
원칙을 세워 팀 문화를 바꾸다

LG는 조 감독 부임 전 2019~2020시즌 9위, 2020~2021시즌 10위(창단 첫 최하위), 2021~2022시즌 7위로 3시즌 연속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감독 교체, 주축 선수 이탈, 줄부상 등 악재가 겹친 암흑기였다.
부임 첫날부터 조 감독이 강조한 것은 원칙이었다. “가장 중요한 건 서로 존중이었다. 인사하고 그런 게 아니라, 운동 시간만큼은 철저하게 지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팀을 망가뜨리는 행동에 단호했다. 조 감독의 선수단 장악력은 팀을 우승으로 이끈 첫번째 동력으로 평가받는다. “고참 선수들이 기분에 따라 운동하고, 늦게 나오는 것들이 팀 문화를 잘못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원칙이 세워지자 선수들의 자율성과 책임감도 함께 성장했다.
시즌 초반부터 나가 떨어진 공격 옵션

조 감독은 수비 중심의 팀 컬러로 2년 연속 정규리그 2위에 올랐지만 챔피언결정전까지는 가지 못했다. 공격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2024~2025시즌을 앞두고 국내 최고의 슈터 전성현과 베테랑 포인트가드 두경민을 영입했다.
“둘 다 공격력이 너무 좋은 선수들이다. 전성현의 슈팅 능력, 두경민의 경험과 경기 운영 능력을 활용해 더 다양한 공격 패턴을 구상했다”고 조 감독은 밝혔다.
그는 전성현, 두경민, 유기상으로 이어지는 1·2·3번 라인업과 양준석, 유기상, 두경민의 스몰 라인업, 슈터들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공격 옵션을 준비했다. 하지만 이 계획은 부상으로 일찌감치 틀어졌다.
“전성현은 무릎 부상으로 시즌 선발 멤버에 들어오지 못했고, 두경민이는 3경기 만에 전력에서 이탈했다. 코치들과 진짜 고민을 많이 했다.”
젊은 피의 반격

계획이 틀어지자 조 감독은 과감하게 젊은 선수들에게 기회를 줬다. “젊은 선수들을 키워내려고 바꿨다. 그랬더니 이 선수들이 주축이 되면서 자기가 가진 능력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2001년생인 양준석, 유기상, 칼 타마요 트리오의 성장은 그의 예상을 뛰어넘었다. “타마요, 양준석, 유기상은 내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성장했다. 특히 타마요는 한국 농구가 복잡한데도 첫해 시즌 치고 너무 훌륭하게 잘해줬다.”
양준석은 무릎 십자인대 부상에서 회복한 후 팀의 중심 플레이메이커로 도약했고, 유기상은 ‘차세대 슈터’라는 평가에 걸맞게 빠르게 적응했다. 이들의 성장은 조 감독의 코트 위 소통 철학이 만들어낸 결과였다.
소통은 코트 위에서
조 감독의 소통은 특별했다. 그에게 소통은 선수들에게 편의를 봐주는 것이 아니었다.
“선수들에게 휴식을 주고 술 한 잔 같이하는 게 소통이 아니다. 코트에서 감독이 원하는 방향에 대해 선수들이 이해하고, ‘감독님 이거 한번 해보면 안 될까요?’라고 할 수 있는 관계, 그게 진짜 소통이다.”
특히 양준석에게는 “나와 얘기를 많이 해라. 벤치 안 쳐다봐도 된다. 네가 하고 싶은 거 하고, 네가 판단을 하라”고 주문했다. 이런 소통 방식이 젊은 선수들의 성장을 이끌었다.
노력하는 선수가 예쁘다

정인덕의 사례는 조 감독의 지도 철학을 잘 보여준다. 2018년 은퇴했다가 군 복무 후 2021년 연습생으로 복귀한 정인덕은 조 감독으로부터 ‘기회’를 받았다.
“정인덕은 태도가 너무 좋았다. 시키는대로 하려고 노력한다. 야간에 혼자 불 꺼놓고 연습한다. 정말 노력하는 선수가 예쁘다.”
기회를 얻은 정인덕은 2024~2025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상대 에이스를 봉쇄하는 수비 전문가로 우승에 이바지하며 다시 새 선수 인생을 시작했다.
베테랑의 리더십을 빌려 쓰다

40세 베테랑 허일영의 리더십도 중요했다. 세대교체 과정에서 그의 출전 시간은 줄었지만, 팀 분위기를 지키는 데 헌신했다. 조 감독은 “허일영이 팀이 연패에 빠졌을 때 흐트러지지 않게 해줬다. 감독에게 불평불만이 있었겠지만 선수단의 분위기를 잘 잡아줬다”고 평가했다.
허일영은 “감독님, 걱정하지 말라. 팀 분위기는 내가 알아서 다 만들어 갈 테니까”라며 조 감독을 다독였다. 이런 팀 우선 태도가 결국 챔피언결정전 MVP로 이어졌다.
새벽 2시 체육관의 불빛
SK와의 챔피언결정전에서 LG는 3연승 후 3연패를 당해 마지막 7차전까지 가는 접전을 벌였다. 조 감독은 철저한 분석과 준비로 이 위기를 극복했다.
“3연패 하는 동안 하루에 2시간도 못 잤다. 체육관에 새벽 2~3시에 나가 영상을 봤다. 다른 팀이 SK를 어떻게 이겼는지 연구했다.”
최종 7차전 승리의 핵심은 SK의 속공 제한이었다. “선수들에게 속공을 5개 미만으로 잡아달라고 했다. 결국 SK랑은 50~60점대 수비 게임을 하는 것이 중요했다.”
왕관을 쓰고도 등산화를 신다
첫 우승을 달성했지만 조 감독은 여전히 겸손했다. “왕조의 시작이라는 표현은 맞지 않다. 스포츠는 변수가 많다. 왕조보다는 지속적인 강팀으로 만들고 싶다. 대권에 도전할 수 있는 팀, 계속 4강권을 유지하면서 팀 문화도 좋게 만들어가고 싶다.”

그는 끊임없이 발전을 추구한다. “내가 추구하는 농구는 좀 더 빠른 농구다. 지난 두 시즌에는 속공이 2위였는데 올해는 꼴찌를 했다. 다음 시즌, 또 그 다음 시즌 조금씩 더 점수를 만들어내는 방향으로 만들겠다.”
사령탑으로서 그의 성장 뒤에는 아내가 있다. “내 아내는 직언을 잘 한다. 선수 시절 38살 때 ‘자리 차지하지 말고 은퇴하라’고 했다. 지금도 경기에서 지면 ‘책임지고 나와. 누구한테 위로받지 말고 하고 싶은 대로 해’라고 한다.”
그는 “얼러주는 것보다 나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해주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믿는다. 현실을 직시할 줄 아는 태도는 그 리더십을 단단하게 만드는 또 하나의 원동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