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식 참석한 이재명 "영원히 남을 현장, 유족과 피해자에 위로"

2025-05-18

[광주=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5.05.18.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8일 광주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영원히 역사에 남을 5·18의 현장에서 가슴 아픈 유족들과 여전히 고통받는 피해자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기념식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언제나 5월은 아름다운 계절이기도 하고 가슴 아프고 슬픈 계절이기도 하다"며 기념식에 참석한 소감을 밝혔다.

이어 "1980년 5월에 그 수많은 분이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를 위해 싸우다 희생당하셨다"며 "(5·18의) 역사는 그 역사로 남지 않았고, 지난해 12월3일에는 다시 현재를 구하고 산 사람들을 다시 살렸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이 후보를 비롯해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우원식 국회의장,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등도 참석했다. 민주당에서는 박찬대 상임총괄선대위원장·박용진 국민화합위원장·추미애·이언주 의원 등이 함께했다.

기념식에 참석하려다 제지를 당한 이도 있었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의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이 오월단체와 광주시민사회단체의 거센 반발로 불발됐다. 안 위원장은 기념식장에 들어서기 국립묘지의 입구인 '민주의문'을 넘어섰으나 보안대 앞에서 5·18공로자회, 부상자회 등 공법단체 회원 10여명의 반발에 발길을 돌렸다.

이날 이재명 후보는 이준석 후보와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와 나란히 앉았다. 행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 이재명·이준석 후보는 농담하며 웃음을 보이기도 했다. 본격적인 기념식이 시작된 후 이재명 후보는 진지한 표정으로 임했다.

식순에 따라 이주호 권한대행과 강기정 광주시장의 기념사가 이어진 후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이 이뤄지자, 이재명 후보를 비롯한 참석자들은 손을 맞잡거나 주먹을 쥐어흔들며 노래를 따라 불렀다.

기념식이 끝난 후에는 이재명 후보가 앉은 자리로 지지자들이 찾아와 사진을 요청했다. 일부 지지자와의 촬영이 이뤄지자, 다수의 시민이 요청하면서 경호처가 제지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이들을 향해 웃음을 지어 보였다.

(광주=뉴스1) 국회사진취재단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기 5·18 민주화운동기념식'에 참석한 뒤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5.18/뉴스1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후보는 기념식을 마치고 기자들을 만나 참석 소감을 전했다. 기념식에 앞서 개헌과 관련된 공약을 제시한 이 후보는 대통령의 권한 축소를 포함한 내용의 개헌안을 밝혔다.

이 후보는 권력구조의 개편과 함께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재차 강조했다. 이 후보는 "구(舊)여권에서도 수차 약속했던 것처럼 국민주권주의, 주권재민의 사상을 목숨 바쳐가면서 실행했던 광주의 5·18정신을 반드시 헌법 전문에 수록해야 한다"며 "시대 변화에 맞춰서 기본권도 강화해야 하고 특히 자치와 분권을 좀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저나 민주당은 '87체제'가 효용을 다했다, 이젠 낡은 옷이 됐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각 후보가 개헌안을 공약으로 냈다. 누군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그 공약대로 국민적 논의를 시작해서 국회에서 가급적 신속하게 제7공화국으로의 헌법개정을 준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5·18 민주화운동 가해자에 대한 청산이 끝나지 않았다는 평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광주 5·18민주화운동 진상에 대해선 아직도 여전히 발포 명령자가 확정되지 않고 있다"며 "단죄도 완전하지 못하고 불완전했기 땜에 지난해 12월3일 밤과 같은 어처구니없는 친위군사 쿠데타를 다시 시도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이어 "그 같은 시도에 대해선 시효를 배제하고 철저하게 언제까지나 그가 생존하는 한 반드시 형사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민사상 소멸시효도 배제해서 상속재산 범위 안에서라면 그가 사망한 후에 그 상속자들한테까지도 민사상 배임의 책임을 끝까지 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