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newsseoul.co.kr/news/data/ptn/20250210/p1065609602732493_991.jpg)
[뉴스서울] 제주특별자치도는 일하는 도민과 노동자의 권리 보호와 증진을 위한 제2차 노동정책 기본계획(2026~2030) 수립 과정에 현장 노동자들이 직접 참여한다고 밝혔다.
제주도는 기존 전문연구기관 용역에서 벗어나 노동 관련 유관기관․단체와 노동자가 함께 참여하는 협업 방식으로 기본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2차 기본계획은 △제1차 노동정책 기본계획의 성과분석을 통한 정책과제 개편 △디지털 경제 전환과 기후위기에 따른 노동 대전환기에 대응하는 정책 △상생과 동행의 노동존중 문화 조성을 추진방향으로 설정했다.
현재 시행 중인 제1차 노동정책 기본계획(2021~2025)은 ‘도민이 행복한 노동존중, 제주특별자치도’를 비전으로 노동기본권 보장·취약노동자 보호, 모범 사용자 책임 강화·노동거버넌스 구축을 목표로 21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제2차 계획을 통해 지난 5년간의 성과를 분석하고 도내 노동현안을 점검해 새로운 정책과제 발굴에 주력할 방침이다.
제주도는 올 7월까지 제2차 노동정책 기본계획의 세부적인 초안을 마련하고, 토론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하반기 노동정책협의회 심의를 통해 연내 기본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노동전문가, 관계기관, 공직자로 구성된 전문가 워킹그룹과 노동단체, 여성, 청년, 청소년, 고령자, 외국인, 감정노동자, 이동노동자, 프리랜서가 참여하는 분야별 워킹그룹을 구성해 수시로 회의를 개최해 향후 5년간의 비전과 목표를 찾는다.
또한, 전체 워킹그룹이 참여하는 원탁회의를 통해 현장 노동자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전략과 세부과제, 맞춤형 시책 등을 도출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관련 부서와 노동정책 행정지원단을 구성하고, 공공정책연수원의 정책기본 계획과정을 함께 이수해 각 부서 직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행정적으로 실현 가능한 구체적 세부과제도 마련할 예정이다.
김미영 제주도 경제활력국장은 “현장 노동자의 의견을 직접 듣고 일하는 도민의 수요에 맞춘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며,????디지털 경제 전환 등 변화하는 노동환경에 맞춰 사회 각계의 노동자를 아우르는 슬기로운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