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반경 1km내 메가커피 8곳…본사 매출 뛸때 가맹점 비명

2025-10-13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역 인근에는 커피 매장 수십 개가 몰려 있다. 그중에서도 저가 커피 브랜드 1위인 메가MGC커피의 경우 여의도역 반경 1㎞(직선거리 기준) 이내에만 8곳의 매장을 두고 있다. 13일 오후 이들 매장 중 한 곳에서 만난 직장인 신모(27)씨는 “회사 인근 저가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을 자주 찾는다”며 “여의도는 밥값이 상대적으로 비싸다보니, 프랜차이즈 커피 매장도 더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메가MGC커피는 2020년 이후 5년 새 전국 프랜차이즈(가맹) 점포가 181% 늘었고, 지난해 커피 브랜드 중 가맹점 수(3325곳)가 가장 많다.

최근 5년간 커피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급증하면서 본사의 매출·영업이익은 각각 131%, 140%씩 늘었지만, 가맹점의 평당 매출 상승률은 평균 1.5%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가맹점들이 신규 점포와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이, 본사만 수익성을 확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가맹점 수 상위 10개 커피 브랜드의 전체 가맹점 수는 2020년 7914개에서 지난해 1만5692개로 거의 2배(증가율 98%) 증가했다. 전국에 3325개 매장을 둔 메가MGC커피가 가맹점 수 1위를 기록했고, 컴포즈커피(2649개)가 뒤를 이었다. 증가세가 가장 빠른 곳은 텐퍼센트 스페셜티커피로 최근 5년간 약 6.5배(2020년 126개→2024년 814개) 늘었다.

점포가 늘자 본사 매출도 급증했다. 브랜드 10곳의 본사 매출은 평균 892억원(2020년)에서 2062억원(2024년)으로 5년 새 131% 늘었다. 영업이익도 평균 102억원에서 245억원으로 140% 뛰었다. 본사가 거둔 가맹비·교육비·물품 공급 이익(로열티) 등 ‘가맹 관련 수익’ 평균은 2020년 1억684만원에서 지난해 1억1804만원으로 10.5% 증가했다.

반면 개별 가맹점 매출은 찔끔 올랐다. 2020년 1499만원이던 커피 가맹점 평당 매출 평균은 지난해 1522만원으로 1.5%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직전 해인 2023년(1650만원)과 비교하면 오히려 7.8%가량 감소했다. 불황 등으로 커피 가맹점들의 수익성이 떨어진 것이다. 실제로 가맹점의 평균 폐업률은 5년 전 2.4%에서 지난해 4.6%로 두 배가량 늘었다. 최근 5년간 폐업률이 가장 높은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이디야커피로, 2020년 2.7%에서 지난해 12.6%로 치솟았다.

외식사업가 백종원씨가 론칭한 빽다방은 지난 2022년부터 가맹비를 받지 않고 있지만, 지난해 가맹점 평당 매출은 2020년보다 약 200만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가맹점 수는 약 2.5배(721개→1712개), 본사 매출액은 3.3배(1347억원→4418억원) 늘었다.

커피 프랜차이즈 본사가 공격적인 출점 전략으로 이익을 늘린 사이, 가맹점주가 감당해야할 ‘리스크’는 더 커졌다. 부산에서 투썸플레이스 가맹점을 8년째 운영 중인 이미영(45)씨는 몇 년 전1㎞거리에 같은 브랜드 ‘경쟁 점포’가 생기면서 월 매출이 20%가량 줄었다. 이씨는 “본사에 항의했더니 ‘본사가 정한 보호 영업권 밖’이라고만 설명하더라”며 “인건비는 매년 오르고 가맹비·물품비도 꽤 큰데, 브랜드 커피 출점 경쟁이 심해져서 힘들다”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012년 ‘모범거래기준’을 두고 동일한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신규 가맹점 출점 제한 거리를 500m로 제한했다. 그러나 2014년 해당 기준을 폐지한 후 현재는 커피 가맹 본사마다 기준이 제각각이다.

각 사에 따르면 메가MGC커피는 기존 점포로부터 250m, 컴포즈커피는 150m의 거리 제한을 두고 있다. 이디야커피나 투썸플레이스도 내부적으로 ‘영업권’ 기준을 마련해 출점한다고 밝혔다. 편의점업계가 2018년 자율규약으로 50~100m 내 신규 출점을 제한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허 의원은 “출점 거리 제한 규제가 폐지된 후 가맹점 간 간격이 좁아지며 생긴 ‘출점 경쟁형 구조’가 각 매장의 매출을 잠식하고 있다”며 “업계는 본사와 가맹점 간 상생을 위해 단기 출점 경쟁을 멈추고 상권 포화도·거리 제한을 반영한 자율 규제 기준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