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s Topic
돈 먹는 하마도 캐시카우로,
AI 빅테크의 넘버스
영원한 ‘캐시카우’도, ‘돈 먹는 하마’도 없다. 메타,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알파벳(구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5대 인공지능(AI) 빅테크의 지난해 4분기 실적을 요약하자면 그렇다. 메타처럼 새 희망을 발견하기도 하고, 애플처럼 믿는 도끼에 발목 잡힌 기업도 나왔다. AI 빅테크들은 어디서 돈을 벌었고,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 중국산 ‘갓성비 AI’ 딥시크 등장 이후에도 어마어마한 돈 계속 AI에 투자할 것인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부터 팀 쿡 애플 CEO까지 수장들 머릿속엔 어떤 고민 담겨 있나. 이들에게 계속 투자해도 되는건가? 딥시크 쇼크가 글로벌 AI업계를 강타한 사이 줄줄이 나온 미국 AI 빅테크 5대장의 실적을 팩플이 주목해야 할 숫자로 분석했다. 이것만 보면 빅테크 실적 한번에 정리 끝.
![](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0/1705d4fd-b907-4414-a140-93b8b9c24b43.jpg)
💬목차
1. 희비 엇갈린 빅테크의 성적표
2. 메타: SNS+AI=Money
3. MS: AI PC 가보자고
4. 애플: AI(Apple Intelligence)는 아직, 일단 서비스부터.
5. 알파벳 : ‘광고의 제왕’, 흔들린다
6. AWS: 1000억 쏜다
1. 희비 엇갈린 AI 빅테크 성적표
4분기 실적 발표를 마무리 한 AI 빅테크 수장들 표정은 제각각이었다. 절치부심 이를 악문 곳도, 애써 표정관리를 하는 곳도 있었다. 유일한 공통점은 중국산 AI에 위협을 느낀다는 점. 5개사 모두 한마디씩 했다.
![](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0/374a2af8-1af8-422d-8546-850a4fdb81d6.jpg)
AI 빅테크 CEO들은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 콜에서 ‘딥시크’에 대한 답을 저마다 내놨다. 저렴하고 성능 좋은 중국산 AI에 대해 어떤 답을 가지고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