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거실·다이닝룸 합치고
침실·욕실·야외 공간 다 줄어
땅값·주택 건설비용 상승과
가족 줄어든 사회 변화 반영

지난 10년 사이 주택은 거의 모든 것이 작아졌다. 땅값과 집값 상승 외에도 결혼연령이 늦춰지고 출산이 줄어드는 사회적 영향도 있다.
새로 짓는 주택은 대지가 작아지면서 토지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야외 공간이 압축되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신규 단독주택의 평균 대지 면적은 13%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잔디밭과 넓은 정원이 사라지고 최소한의 조경 또는 돌과 콘크리트를 활용한 외부 공간이 대체했다.
작아진 대지는 관리 부담이 적은 라이프스타일을 선호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정원 가꾸기나 야외 활동, 사생활 보호가 중요한 이들에게는 불편할 수 있다. 일부 커뮤니티는 개인 마당 공간 부족을 공용 공원이나 녹지로 대체했다. 작은 대지는 개인적인 야외 공간보다 커뮤니티 중심의 생활을 우선시하는 주거 형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효율을 중시하는 개방형 구조가 보편화되면서 주방은 거실과 다이닝 공간과 결합되는 경우가 많아 전체 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주방에 통합되며 정식 다이닝룸은 점점 사라지고 있다. '하우즈'에 따르면, 식사와 업무, 휴식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통합 공간 선호도가 높다. 거실도 주방에 통합되면서 카펫이나 조명, 가구 배치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정도다.
이런 흐름을 반영해 최신 주택에서는 확장형 식탁이나 아일랜드 식탁을 배치해 조리대와 식사 공간을 겸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설계는 실용적이지만, 전통적인 다이닝룸에서 느낄 수 있는 아늑함과 친밀함은 줄어들 수 있다. 고급 주택에서는 다이닝룸을 단순한 식사 공간이 아닌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재구성하는 경우도 많다. 다이닝룸의 점진적인 소멸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전통적인 주거 문화가 융합되는 과정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최신 주방 디자인은 슬림한 수납장과 소형 가전제품, 다기능 수납공간을 중심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슬라이드형 팬트리 선반과 하부 수납장, 접이식 테이블과 같은 새로운 설계가 등장해 공간 절약 효과가 뛰어난 반면 요리를 자주 하거나 손님이 많은 가정에는 다소 불편할 수 있다.
작아진 주방은 자재 사용과 에너지 소비를 줄이려는 트렌드를 반영한다. 도시형 주택이나 미니멀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
최근 주택 설계에서는 거라지 공간도 작아지고 있다. 차 한 대만 세울 정도거나 아예 차고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일부 도시에서는 자전거 이용 증가와 차량 공유 서비스 확대의 영향으로 카포트(carport)나 공유 주차 공간이 거라지를 대체하고 있다.
그러나 작은 차고는 수납공간까지 제한해 물품 정리에 어려움이 있고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주택 내 충전 장치 설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침실은 개수와 크기 모두 줄고 있다. 최근에는 비용 절감과 공간 최적화를 위해 두세 개의 침실을 갖춘 설계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1인 가구와 자녀 없는 부부의 증가와도 맞물려 있다. 이들은 침실이 많은 것보다 넓은 거실이나 공유 공간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 침실 개수가 적어지면 냉.난방과 전기 비용이 주는 장점도 있다.
침실에 붙은 옷장은 워크인보다 작은 벽장이나 붙박이형 옷장이 늘고 있다. 크기가 작아지면서 모듈형 선반 시스템이나 침대 밑 수납공간이 대안으로 떠올랐다.
최근 욕실 디자인은 기능성 우선과 세련된 미니멀리즘 스타일이 특징이다. 아예 욕조를 없애고 워크인 샤워부스만 설치하기도 한다. 대신 터치리스 수도꼭지나 자동 조명 같은 스마트 기술을 접목해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에너지 효율성과 비용 절감이 중요해지면서 창문의 개수와 크기도 줄고 있다. 집안 전체가 어두운 느낌을 줘 이를 보완하기 위해 조명이나 거울을 전략적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환기 효율 감소를 막기 위해 첨단 환기 시스템을 사용한다. 그러나 자연 채광이 줄고, 바깥 풍경과 단절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단점이다.
높은 천장은 한때 고급 주택의 상징이었지만 최근에는 난방과 냉방 비용 절감을 위해 천장이 낮아지는 추세다. 답답한 느낌을 보완하기 위해 밝은 색상의 페인트를 사용해 공간을 넓어 보이게 만드는 방법이 사용된다.
낮은 천장은 실용성을 우선하는 현대 건축 흐름과도 맞물려 있다. 하지만 높은 천장을 선호하는 구매자들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
실내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려는 추세와 맞물려 베란다와 데크, 패티오 같은 야외 생활 공간은 계속 줄었다. 건축회사들은 실내 공간을 넓히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야외 공간은 부차적인 요소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도시 주택에서는 토지 면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야외 공간보다는 실내 공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도 여전히 사람들은 주택과 자연의 연결을 중시한다. 야외 공간 축소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엔 공간 활용도가 높은 수직 정원이 등장했고 미니 정원과 분수대도 인기가 높다.
안유회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