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법,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의 안전인증 기준 달라
"17cm 이상이면 태블릿 PC"...측정 방식 규정 없어
갤럭시 '실측' 17cm 넘지만 아이폰은 둥근 모서리로
[녹색경제신문 = 우연주 기자]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S25 울트라는 KC안전확인인증(이하 안전확인)을 받았지만 애플의 아이폰 15·16 프로 맥스는 같은 인증을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우리나라 법은 기기의 대각선 길이가 17cm 이상이면 안전확인을 받도록 하고 있지만 아이폰이 예외로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둥근 모서리' 탓이다.
■ KC안전인증, 종류도 가지가지...스마트폰은 원래 '공급자 적합성 확인' 대상이지만
KC인증은 크게 '안전인증'과 '전자파인증'으로 나뉜다.
이 중 전자는 제품과 공장에 대한 심사가 포함되는 '안전인증', 국가가 지정한 안전인증기관을 통해 제품을 심사하는 '안전확인', 공급자가 민간시험소에서 시험해도 되는 '공급자 적합성 확인'으로 나뉜다.
스마트폰은 위 기준에서 가장 난이도가 낮은 공급자 적합성 확인 대상이다.
하지만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운용요령'의 '태블릿 PC' 항목에는 "화면 대각선의 길이가 17cm 이상인 것에 한정하며, 음성 통화기능이 있는 경우도 태블릿 PC로 본다"고 돼 있다.
태블릿 PC는 위 기준에서 두 번째인 안전확인 대상이다.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출시됐다 하더라도 대각선 길이가 17cm가 넘는 경우 태블릿 PC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확인을 받는 추세다.
대표적인 경우가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25 울트라 시리즈다.
■ 갤럭시는 덜 둥글고, 아이폰은 더 둥글었네...법의 '17cm' 비껴나간 이유
갤럭시 S24 울트라의 경우 직각화해 측정하면 대각선 길이가 17.25cm다. 갤럭시 S25 울트라도 직각화해 측정하면 대각선 길이가 17.42cm다.
이에 갤럭시 S24·25 울트라 시리즈는 모두 안전확인 인증을 받았다.
아이폰도 광고된 대각선 길이는 모두 17cm 이상이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의 경우 대각선 길이가 17cm라고 공식 홈페이지에 광고돼 있고, 아이폰 16 프로 맥스는 17cm를 훌쩍 넘는 17.43cm로 광고되고 있다.
관건은 '실측'이었다. 아이폰 프로 맥스 시리즈의 경우 모서리 둥글게 깎여 있어, 대각선으로 길이를 측정하면 두 기기 모두 17cm에 못 미친다.
기자가 직접 측정한 아이폰 16 프로 맥스의 화면 대각선 길이는 약 16.7cm였다.
행정사 A씨는 "KC인증은 무조건 실측 기준이다"며 "제조사가 이렇다, 저렇다 주장할 수 있지 않나. 그래서 시험기관에서 직접 측정하고 실험한 결과를 기준으로 한다"고 배경을 전했다.
내막을 잘 아는 B씨는 "애플 측이 소명한 자료를 보니 합리적(reasonable)이었다"고 상황을 전했다. 둥근 모서리로 인해 실측 결과가 깎여나간 것을 가리킨 것으로 풀이된다.
■ 가상의 직사각형 만들어 대각선 길이 측정...기준 애매하다는 지적도
그렇다면 광고된 '17cm'와 '17.43cm'는 무엇일까? 힌트는 '직각화'라는 표현에 있었다.
애플 홈페이지에는 "아이폰 16 프로 맥스 디스플레이는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기기의 아름다운 곡면 디자인을 반영합니다. 이 모서리는 기기의 전체적인 모양인 직사각형 내부에 위치합니다. 직사각형 기준으로 측정했을 때, 화면은 대각선 길이 기준 17.43cm입니다(실제로 보이는 영역은 이보다 좁음)"고 쓰여 있다.
즉, 둥근 모서리를 만들기 위헤 깎아낸 부분을 가상으로 채워넣어 직사각형을 만든 후 측정한 수치라는 것이다.
갤럭시의 경우 모서리가 깎인 정도가 상대적으로 덜해 실측값도 모두 17cm가 넘었다. 갤럭시 S24·S25 울트라는 KC 안전확인을 받은 배경이다.
업계에서는 '기준이 애매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한다.
B씨는 "사실 화면 측정 방식에 대해 명확히 규정된 바가 없다. 제조사가 제출한 자료를 바탕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제조사 관계자도 "원래는 스마트폰이니 공급자 적합성만 받으면 되는데, 디스플레이 길이가 17cm를 넘으니 태블릿 PC로 볼 수도 있다는 의견이 외부 기관에서 전달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우연주 기자 lycaon@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