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유예 틈타…"90일내 최대한 많이" 베트남 中공장 주문 폭주

2025-04-1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한 상호관세 부과 정책에 따라 베트남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중국 업체의 주문 상황이 널뛰기를 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베트남 하노이에 있는 가구공장을 소유한 중국인 제이슨 우는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베트남에 46%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힌 직후 미국 고객들의 잇단 주문 취소에 곤혹을 느꼈다.

하지만 일주일 뒤인 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겠다는 발표가 나오자 같은 고객들로부터 '90일 안에 장식장을 최대한 많이 보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유예기간 최대한 많은 재고를 확보하려는 미국 수입업자들의 요구가 폭증한 것이다.

밤낮없이 공장을 돌리고 있다는 우씨는 "미국 고객들은 90일 안에 트럼프가 다른 미친 짓을 할까 봐 매우 두려워하면서 주문을 쏟아내고 있다"고 SCMP에 말했다.

베트남에 공장을 둔 중국 업체 중에는 트럼프 1기 미중 무역전쟁 당시 미국의 반덤핑 관세를 피하려 생산기지를 이전한 경우가 많다. 우씨 역시 2019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공장을 옮겼다.

2012년부터 선반 제조업체를 운영해온 쩌우하오쉐도 2019년 중국의 공장을 하노이로 이전했다. 그도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이후 주문 전화가 끊이질 않았다며 "모두가 90일 안에 배송을 완료해주기를 원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 또다시 불거진 미중 간 관세전쟁에 베트남에 공장을 둔 중국 업자들은 혼란스럽다는 입장이다. 불똥이 어디로 튈지, 베트남에서 사업을 계속할 수 있을지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다.

쩌우씨는 "최종 관세가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아마 10~20% 정도일 것"이라며 "20% 정도라면 미국 고객과 분담해서 감당할 수 있다. 아프긴 해도 무너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엔비디아·폭스콘 등에 납품하는 전자 공장을 운영하는 톈모씨는 불확실성이 크다고 봤다. 그는 2019년 고객사 요청으로 중국 공장을 베트남으로 옮겼다.

톈씨는 "중국에 부과하기 시작한 관세가 이제 동남아시아까지 왔다. (고객사가) 원하면 어디든 또 옮겨가야 한다"며 "우리 같은 중소기업이 할 수 있는 게 뭐가 있겠나, 발효되면 죽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토로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