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5주기] 삼성, 24일 추도식 거행…'KH 유산' 다시 빛나다

2025-10-23

유족·경영진 150명 참석…선대 회장 'KH 유산' 재조명

'이건희 컬렉션' 해외 전시로 한국 미술 세계에 알린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의 5주기 추도식이 오는 24일 오전 경기도 수원 가족 선영에서 엄수된다. 추도식에는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명예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김재열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등 유족이 참석한다.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을 비롯한 전·현직 경영진 150여 명도 함께한다. 추도식 이후 이재용 회장과 관계사 사장단은 경기 용인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오찬을 함께하며 선대 회장을 기릴 예정이다.

23일 삼성에 따르면 이날 추도식은 고인이 남긴 'KH 유산'의 의미를 되새기는 자리이기도 하다. 유족은 지난 2021년 선대 회장의 뜻을 기려 미술품 기증과 의료공헌 등 사회 환원을 실천했다. 한국 미술계 발전을 위해 평생 수집한 문화재와 미술품 2만3000여 점을 국가기관에 기증하고, 감염병 극복에 7000억 원, 소아암·희귀질환 지원에 3000억 원 등 총 1조 원을 사회에 기부했다. 상속세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자산 매각이 예상됐지만, 유족은 오히려 사회 환원을 선택했다.

2만3000여 점에 달하는 소장품 기증은 국내 최대 규모다. 국보 14건, 보물 46건을 포함한 고미술품 2만1600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국내외 작가의 근대 미술작품 1600여 점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전달됐다. 또 이중섭미술관, 박수근미술관, 전남도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대구시립미술관 등에도 143점이 기증돼 지역 문화 인프라 향상에도 기여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 단원 김홍도의 '추성부도', 국내 유일 고려 천수관음 불화 '천수관음보살도' 등 지정문화재 60건이 포함됐다. 국립현대미술관에는 김환기의 '여인들과 항아리', 박수근의 '절구질하는 여인', 이중섭의 '황소' 등 한국 근대 대표작 1488점이 기증됐다.

두 기관은 2021년부터 전국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이건희 컬렉션' 순회전을 35회 열었다. 누적 관람객은 350만 명을 넘었다. 미술 전문 매체 아트뉴스페이퍼는 이 영향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이 2022년 전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관람객이 많은 박물관에 올랐다고 밝혔다. 문화계는 "이건희 컬렉션이 고미술부터 현대미술까지 폭넓은 작품을 공개하며 국민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넓혔다"고 평가했다. 이후 한국 미술시장 성장과 함께 국내 작가들의 해외 진출 기회도 확대됐다.

'이건희 컬렉션'은 오는 11월부터 세계 순회전을 시작한다. 첫 전시는 미국 스미스소니언 국립아시아예술박물관에서 열리고, 이후 시카고미술관(2026년 3~7월)과 영국 대영박물관(2026년 9월~2027년 1월)으로 이어진다.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해외 전시는 한국 예술의 가치를 세계에 알릴 계기로 기대된다. 미술계는 박수근·이중섭 등 국내 거장들의 작품이 재조명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건희 선대회장은 "사람들의 일상 속에서 문화적 소양이 자라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2004년 리움미술관 개관식에서도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은 인류 문화의 미래를 위한 시대적 의무"라고 말했다. 그는 국내외에 흩어진 문화재를 모아 국립박물관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백남준·이우환·백건우 등 예술인의 해외 활동을 지원했다. 또한 '삼성호암상' 예술상을 제정해 인류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인물을 시상하며 한국 문화의 저변 확대에 힘썼다.

s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