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등 주요 품목 수출 감소...미국 경기 둔화 영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 여파로 'K푸드 대미 수출'의 성장세가 2년여 만에 처음으로 꺾였다.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의 20일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농식품 대미 수출 금액은 1억3천900만달러(약 1천9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 감소했다. 이는 2023년 5월 이후 2년 2개월 만에 처음으로 대미 농식품 수출이 줄어든 것이다.
핵심 품목인 라면의 대미 수출액은 1천400만달러로 17.8% 감소했으며, 상반기 라면 수출액은 지난해 동기 대비 40.8% 증가했다. 과자류는 2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5.9%, 약 700만달러 감소했다. 소스류는 7.2% 줄어든 7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인삼류 등도 수출이 감소했다.
대미 농식품 수출은 7월 누계로는 여전히 21.3% 증가한 10억7천300만달러를 기록했으나, 7월 한 달간 수출 감소로 증가율이 6월까지의 27%에서 낮아졌다.
전문가들은 고율의 상호관세가 예고된 상황에서 제품 발주가 앞당겨진 영향도 일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삼양식품 측은 "미국 관세 인상 전에 수출을 많이 해 물량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식품업계는 트럼프 관세가 K푸드 대미 수출 둔화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한 식품기업 관계자는 "관세 인상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소비가 감소하고, 미국 유통업체들의 발주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 경기 침체 우려도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
미국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57%가 식료품비가 주요 스트레스 요인이라고 응답했다. 한국투자증권 강은지 연구원은 "미국 내 소비심리 둔화가 한국 식품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농기자재 등까지 포함한 'K푸드 플러스' 수출 목표액을 140억달러로 설정했으나, 지난달 농식품 수출은 8억4천만달러로 5.3% 감소했다. 농식품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출 확대를 위한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국매일신문] 이현정기자
hj_lee@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