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계절, 아이닉이 제안하는 선택기준

2025-10-15

[서울=뉴스핌] 조한웅 기자 = 차가운 날씨와 잦은 난방 기기 사용은 폐, 코, 입술을 건조하게 만드는 주범이다. 이때 가습기를 쓰면 공기 중 습도를 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

가습기를 사용해 실내 습도를 40% 이상으로 유지하면 바이러스 입자가 빠르게 비활성화되면서 호흡기 질환 감염의 가능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적정 습도를 유지하면 건조함에 의한 마른기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더불어 공기가 건조하면 기도까지 건조해지는데, 이로 인해 수면 중 코골이가 심해질 수 있다. 침실에 가습기를 두어 공기 중 수분을 채워주면 호흡이 편해지고 코골이 증상 완화에도 좋다.

가습기는 한 번 사면 수년을 쓰는 가전인데, 가습 방식에 따라 작동 원리와 특징이 달라 선택이 쉽지 않다. 이에 가습기를 구매할 때 따져봐야 할 주요 사항들을 정리해봤다.

■ 가습 방식

언뜻 비슷해 보이지만 가습 방식에 따라 초음파식, 가열식, 복합식, 기화식으로 분류된다. 초음파식은 초음파 진동자를 통해 물에 진동을 일으켜 만든 물방울을 내보내는 방식이다.

물을 데우지 않아 화상 발생 우려가 없고 전력 소모가 적지만, 관리에 소홀하면 세균으로 오염된 물안개가 분사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가열식은 물을 가열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물을 끓이기 때문에 살균 효과는 있지만 화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고 전력 소모가 크다.

복합식은 가열식과 초음파식을 합친 형태로, 물을 75~80℃ 정도로 데운 후 초음파로 가습하여 풍부한 분무량을 낸다. 체온과 같은 온도로 분사되므로 화상 위험이 낮고 전력 소모도 적지만, 세균 번식의 우려가 있어 세척을 잘해줘야 한다.

기화식은 물에 젖은 필터를 말려 가습하는 방식으로, 전력 소모가 낮은 편이다. 다만 주기적으로 필터를 갈아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 물탱크 용량과 분무량

가습기를 장시간 작동시킨다면 물탱크 용량이 충분한지 체크해야 한다. 물탱크가 크면 그만큼 많은 물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탱크 용량이 적으면 물을 자주 채워 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가습기가 한 시간 동안 배출하는 습기의 양인 분무량도 살펴봐야 한다.

■ 세척의 용이성

가습기 속 물은 쉽게 오염되고, 세균은 물 안에서 빠르게 번식하므로 주기적인 세척은 필수다. 따라서 세척이 쉬운 단순한 구조의 디자인으로 된 가습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물탱크와 본체가 분리되는 제품이 좋고, 물탱크 구조도 구석구석 세척하기 쉬운 단순한 구조로 된 것이 좋다.

국내 가전 전문 기업 ㈜아이닉(대표 정건영)의 복합식 가습기 'iH12 Pro'는 400cc의 가습량과 160cm 분무 높이, 11L 대용량 물탱크로 1회 급수 시 약 4.5일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세균 번식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 '3단계 살균 케어 시스템'을 도입했다. 유해물질 방출 걱정이 없는 스테인리스 PTC 가열판 설계, 화상 위험이 없는 80℃ 가열 온도와 UV-C LED 파장으로 바이러스를 즉시 살균할 수 있도록 만들어 인체 유해균 99% 살균 시험 성적서 인증을 마쳤다. 가습관과 전원 테이블을 분리형으로 설계해 세척이 간편하다.

특히 스마트 IoT 무선 습도 센서를 갖춰 사용자가 실질적인 습도를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가습기는 자동 습도 조절 기능을 탑재해 사용자가 희망 습도를 설정할 수 있지만, 해당 기능은 가습기 주변의 습도를 인식해 목표 습도에 도달하여 정작 사용자는 건조함을 느끼는 한계가 있다. IoT 무선 습도 센서는 5분마다 사용자 주변의 습도를 감지해 가습기(본체)에 전송하여 적정 습도에 걸맞은 분무량을 조절한다.

이 외에도 편의 및 안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리모컨·본체 3중 컨트롤 △3단계 냉온 분무량 조절 △최대 12시간 타이머 △차일드락 기능을 갖추고 있다.

whitss@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