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9월의 승리에 잊힌 그들

2024-09-26

‘구월이 오면/구월의 강가에 나가/우리가 따뜻한 피로 흐르는/ 강물이 되어/세상을 적셔야 하는 것을’ 안도현의 시 ‘그대에게 가고 싶다’의 마지막 구절이다.

하늘은 맑고 말은 살찐다는 천고마비의 계절, 우리나라 9월의 사연은 얼룩진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기쁘고 슬픈 얘기가 무성하다. 1년 중 가장 감격스러운 날이요, 역사적인 날인 9월15일과 28일은 피로 흐르는 강물이 되어 세상을 적셨다.

대한민국의 운명을 건 6·25전쟁은 세계 전쟁사에서도 드문 처절한 기록으로 1950년 6월 북한군이 남침해 3일 만에 수도 서울을 함락했고, 3개월 후인 9월엔 치열한 전투 끝에 우리 국군이 수도를 탈환하고 38선을 돌파해 북진했다. 한국군은 압록강까지 이르렀고 국토통일의 문턱까지 갔지만 중공군의 개입으로 꿈은 사라지고 천추의 한으로 남았다.

돌이켜보면 1950년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은 한국전쟁의 흐름을 바꾼 날이다. 인천상륙작전은 세계 2차 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더불어 세계 역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상륙작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이 작전이 성공하기까지는 보이지 않는 엄청난 희생이 따랐다. 특히 인천상륙작전 직전 경북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 해안에서 벌어진 장사상륙작전은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위해 제대로 훈련을 받지 못한 학도병들이 나선 전투였다. 맥아더 장군도 이들에게 경의를 표할 만큼 의미 있는 작전이었지만 이 장사상륙작전은 전쟁 이후에도 조명을 받지 못했다. 군번도 계급도 없었던 학도병들의 눈물겨운 전공은 그렇게 가려졌다.

장사상륙작전은 인천상륙작전 실시에 맞추어 북한군을 교란하기 위한 양공 작전으로 계획됐다. 서해안의 인천과 정반대 방향인 동해안 포항 북쪽 약 25㎞ 지점에 있는 경상북도 영덕군 장사리 해안 일대 북한군 점령지역에서 772명으로 구성된 학도병 부대가 전개한 상륙작전이었다.

학도병들이 승선한 LST 문산호는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위해 그 하루 전인 9월 14일 부산에서 출발해9월 15일새벽 6시, 장사리 해안에 도착했다. 이들의 목표는 북한군 후방을 교란하는 것이었다. 기상 악화에도 학도병들은 상륙 작전을 감행했다.

장사상륙작전은 교란작전이요 위장 작전으로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을 뒷받침했다. 하지만 장사상륙작전은 최근까지도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피의 무공담이다. 잊힌 그들, 그 어린 학도병들의 영혼은 지금도 하늘에서 떠돌고 있지 않을까 싶다. 너무 희생자가 많아서일까?

장사상륙작전은 인천에 쏠릴 수 있는 북한군의 주의를 돌리면서 당시 포항과 경주 등을 공격하던 북한군 2군단의 후방 병참선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들은 주로 대구, 밀양 지역 등에서 모집한 중학생(중학교 6년제)으로 대부분 17~18세였으나 15세의 어린 학생도 있었다고 한다. 이들은 교복 차림에 기초 군사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태에서 작전에 투입돼 바닷물에 뛰어들었다. 그리고 해안에 있던 북한군의 화력을 뚫고 결사적으로 전투를 벌였다.

학도병들은 치열한 전투 끝에 해변을 점령하고 상륙 12시간 만에 반경 10㎞ 내 북한군을 소탕, 포항으로 통하는 7번 국도를 장악했다. 이에 대규모 부대가 상륙한 것으로 판단한 북한군은 낙동강 일대 병력 일부를 장사리에 투입, 전차를 앞세워 반격에 나섰다. 학도병들이 참여한 교란작전의 성공이 나라를 지킨 것이다.

인천에 상륙한 부대와 함께 한강을 건너 서울을 향한 학도병은 북한군의 최후 방어선인 연희고지(현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결사 항전하는 적을 섬멸하는 등 서울탈환 작전에도 결정적인 공을 세웠다. 잊힌 그들, 장사상륙작전에서 산화한 젊은 학도병들의 영령을 추모한다.

이재학 / 6·25참전유공자회 회장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