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보합권 내 혼조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감세안이 미국 의회 하원을 통과하자 주식과 국채 시장은 불확실성 해소라는 긍정적 측면과 감세 법안에 따른 재정적자 추가 악화 가능성이라는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평가하면서 불안정한 흐름을 보였다.
22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5포인트(0.00%) 내린 4만1859.0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60포인트(-0.04%) 떨어진 5842.0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53.09포인트(+0.28%) 오른 1만8925.73에 장을 마감했다.
하원은 이날 본회의에서 감세 법안인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대한 표결을 실시해, 찬성 215표 대 반대 214표로 가결처리해 상원으로 넘겼다. 하원 다수당인 공화당에서도 반대표 2표, 기권표(재석) 1표가 나왔다. 민주당 하원의원은 전원 반대표를 던졌다.
법안은 개인 소득세율 인하, 법인세 최고세율 인하, 표준소득공제와 자녀세액공제 확대 등 2017년 감세법에 따라 시행돼 왔으나 올해 말 종료될 예정인 주요 조항을 연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작년 대선 기간 트럼프 대통령이 공약했던 팁과 초과근무수당에 대한 면제, 미국산 자동차 구입시 대출 이자에 대한 신규 세액공제 허용 등도 포함됐다. 미 의회예산국(CBO)은 이 법안이 상원에서 최종 확정될 경우 연방 정부 재정적자가 향후 10년간 3조8000억달러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후속절차로는 상원 가결과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이 남았다.
아젠트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제드 엘러브룩은 법안의 효과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긍정적으로,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는 “단기적으로 감세 법안이 통과되면 세금이 줄고 국방비 지출이 늘면서 내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봤다. 반면 그는 “예산 적자는 오랜 기간동안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정상으로 돌아갈 조짐이 없다”며 “국채에 대한 매력과 신뢰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장기 국채 금리의 오름세는 일단 멈췄다.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증시 종료 시점 3.8bp(1bp=0.01%포인트) 내린 5.052%에 거래됐다. 10년 물 금리는 6.2bp 내린 4.543%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