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해가 끝나고 신년이 왔을 때 직장인들이 가장 많이 하는 후회 중 하나가 “연금 공제 한도를 다 채우지 못했다”는 것이다. 직장인은 연금저축과 개인형퇴직연금(IRP)을 합쳐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데 총급여 5500만 원 이하 근로자는 16.5%, 그 이상인 근로자는 13.2%의 공제율이 적용된다. 단순한 절세를 넘어 노후 대비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재테크 수단이라는 점을 잊지 말고 연금 공제한도를 꼭 챙겨야 한다.
연금 납입을 결정하면 직장인들의 두 번째 고민이 시작된다. 어디에 투자할지 투자 대상을 결정하는 것이 훨씬 어려운 고민이다. 누군가는 증시 급등을 얘기하며 주식에 투자하라고 하고, 누군가는 주식시장이 너무 많이 올라 안전이 최고라며 예금을 권한다. 주식에 투자하려니 바쁜 직장 생활 중에 잘 관리할 자신이 없고, 예금에만 두자니 금리 인하에 따른 낮은 금리가 영 만족스럽지 않다.
직장인의 연금 자산은 20년 이상 장기 운용을 전제로 한다. 그만큼 장기투자를 통해 시장의 등락을 버틸 수 있는 ‘시간’이라는 힘이 있다. 어느 정도 주식 비중을 가져가고 싶지만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바쁜 직장인이 일일이 비중을 조절하기 어렵다면, 타겟데이트펀드(TDF)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TDF는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 비중이 자동으로 조정돼 관리 부담이 적다. 젊은 층일수록 주식 비중을 높게 가져가고,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안정적 자산으로 이동하는 ‘자율주행 펀드’라 할 수 있다.
투자자 은퇴 예상 연도에 가장 가까운 빈티지를 찾아 가입만 하면 연령대에 맞게 알아서 관리해주는 상품으로 미국의 401K 디폴트옵션의 대표 상품이다. 국내 주요 퇴직연금 사업자들 역시 TDF를 ‘기본 투자상품’으로 편입하며 직장인의 노후 준비를 실질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한국시장에서 TDF는 해외 모델을 그대로 쓰던 초기 단계에서 벗어나 한국 투자자의 생애주기와 시장특성을 반영해하여 투자비중을 관리하는 ‘한국형 TDF’가 주류로 자리 잡았다. 금리 구조, 은퇴 시기, 자산 선호도가 외국인과 다른 만큼 국내 투자자에 적합한 비중과 위험 관리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한국형 TDF인 삼성한국형 TDF는 2015빈티지부터 2060빈티지까지 업계 최다 빈티지를 9년 간 꾸준히 제공하고 있어 20대부터 70대까지 누구나 본인에게 딱 맞는 빈티지를 골라 가입할 수 있다.
연금 자산관리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꾸준함이다. 연말까지 남은 두 달, 연금 공제한도를 자신에게 적절한 상품에 투자하는 것은 단순한 세금 절약을 넘어 노후 안정의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찬바람 불 땐 연금 공제 한도를, 시장이 어렵다면 자율주행 자산배분 펀드인 TDF를 떠올리자.
![자동가입·자동투자 결합…'장기투자 DNA' 심어[퇴직연금 프런티어]](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X6GKSF_1.jpg)
!["RA,데이터·알고리즘으로 장기투자 복리효과 극대화"[퇴직연금 프런티어]](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W1ZV49_1.png)
![[투자의 창] 은퇴의 출발, 돈을 쓰는 법을 배워야](https://newsimg.sedaily.com/2025/11/11/2H0EWFWOAM_1.jpg)



![데이비드맨로우 베네핏스트리트 CEO "미국선 기관투자자 펀드는 M&A 대출 규제 안 해"[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CC76KG_1.jpg)
![‘이자 장사’ 벗어난 KB…50조 시총 뒤 숨은 체질 변화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BZUH7X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