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제조시설을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하는 개방형 생산 플랫폼
제조 설비, 공정 컨설팅, 실무 제조 노하우까지 지원

중소 식품기업이 고가의 설비 투자 없이도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사장 김덕호)은 중소기업의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보유한 제조 인프라를 개방형 공유주방 형태로 전환해 본격 운영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공유주방은 식품 제조시설을 여러 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하는 개방형 생산 플랫폼으로, 그동안 주로 민간에서 운영돼 왔다.
식품진흥원은 이를 공공 부문에 도입, 자체 설비가 없는 창업기업이나 소량 생산을 원하는 중소기업이 시제품을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는 2019년 식품위생법상 규제 특례로 지정된 이후 위생 실증을 거쳐 2021년 관련 법령 개정을 통해 정식 제도로 도입됐다.
식품진흥원은 이에 따라 시설 운영 매뉴얼과 품질관리 체계를 정비하고 파일럿플랜트와 기능성제형센터를 공유형으로 전환했다. 또 위생관리 책임자 지정, 제조 기록 전산화 등 다중 사용자를 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해 시범 운영에 착수했다.
식품진흥원의 공유주방에서는 PET 음료, 액상스틱, 스파우트파우치 등 액상 제품과 과립스틱, 분말파우치, 츄어블정, 동결건조제품 등 고형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식품진흥원은 장비 제공에 더해 장비 사용법 교육, 제품별 공정 컨설팅, 실무 제조 노하우 등을 함께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이 제품을 직접 생산할 수 있는 실질적 역량을 확보하도록 돕고 있다. 이는 단순 장비 임대 중심의 타 기관 지원 방식과 차별화된 점이다.
공유주방 이용을 희망하는 기업은 식품진흥원 디지털식품정보플랫폼(foodpolis.kr/dfip)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 자세한 사항은 대표전화(063-720-0500) 또는 대면 상담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김덕호 이사장은 “식품진흥원의 공유주방은 단순한 공간 제공을 넘어 기업이 제품을 실제로 만들 수 있도록 실무 중심의 지원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며 “앞으로도 인프라와 전문성을 적극 개방해 식품산업 전반의 자생력과 혁신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공유주방 #식품기업 #제조 인프라 개방 #중소기업 #개방형 생산 플랫폼 #실무 중심 지원 #식품기업 자생력
송승욱 ssw791221@naver.com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