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외국인 카지노 '삼국지'(롯데관광개발·파라다이스·GKL)의 3분기 실적을 기점으로 업계 판도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롯데관광개발이 5분기 만에 파라다이스를 꺾고 영업이익 1위 자리를 되찾았다. 다만 롯데는 막대한 '이자 비용'이, 파라다이스는 '성장 둔화'가 약점으로 지적돼 향후 치열한 선두 다툼이 예상된다.
GKL이 11일 3분기 매출 1094억원, 영업이익 173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하며, K카지노 '빅3'의 3분기 성적표가 모두 나왔다. 3분기 영업이익 순위는 롯데관광개발(529억원), 파라다이스(395억원), GKL(173억원) 순으로 확정됐다. 롯데관광개발이 2024년 2분기 이후 1년 3개월 만에 파라다이스를 제치고 1위 자리를 탈환한 것이 이번 실적 시즌의 최대 이변이다.
롯데관광개발의 성과는 조 단위 복합리조트(IR) 투자가 '하이 리스크-하이 리턴' 전략으로 결실을 맺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3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529억원)을 기록하며 제주 드림타워의 성장성을 입증했다. 하지만 재무 리스크는 여전하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금융비용으로만 424억원이 발생, 당기순이익은 64억원에 그쳤다. 영업 실적이 둔화될 경우 막대한 이자 부담이 곧바로 적자 위기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다.
반면, 파라다이스가 3분기 '어닝 쇼크' 수준의 실적을 낸 것 역시 IR 투자 경쟁과 직결된다. 파라다이스의 영업이익 395억원은 시장 기대치(515억원)를 크게 밑돌았다. 업계는 롯데(1600실)와 인스파이어(1275실)가 대규모 객실을 활용한 '콤프'(무료 숙박) 공세에 나선 반면, 파라다이스시티(711실)는 객실 수가 부족해 방어에 한계가 있었다고 분석한다. 이기훈 하나증권 연구원은 "파라다이스시티는 제한된 룸으로 VIP에 집중할 수밖에 없어 단기 성장 여력이 제한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객실 확보를 위한 '인천 하얏트 웨스트 타워' 인수 시점마저 내년 3월로 늦춰진 점도 악재다.
GKL은 '빅3' 중 유일하게 조 단위 IR 투자를 하지 않은 전통 사업자로서의 딜레마가 뚜렷하다. 9월 누적 매출(3202억원)은 전년 대비 10.2% 성장했으나 롯데(29.0%)에 비하면 성장세가 더디다. 특히 자체 부대사업(호텔, 쇼핑몰)이 없어 매년 수백억 원의 임차료를 지출하는 비용 구조도 한계로 지적된다. GKL 역시 뒤늦게 '호텔 직접 투자' 등 자체 IR 모델 검토에 나선 상태다.
K카지노 3사의 경쟁 구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외부 변수는 지난해 2조 원을 투입해 문을 연 인스파이어다. 인스파이어 또한 최근 감사보고서에서 연간 966억원의 이자 비용을 공개하는 등 막대한 재무 부담을 안고 있다. 4분기부터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라는 대형 호재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카지노 업계가 이 기회로 빚 부담을 덜어내고 시장 판도를 굳힐 수 있을지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