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금융권이 보이스피싱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AI 기반 정보공유·분석 플랫폼(ASAP·에이샙)'이 가동된다. 130개 금융회사가 90개 항목 보이스피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는 공동 방어 체계가 만들어진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에이샙을 출범한다고 29일 밝혔다. 에이샙은 금융·통신·수사 과정에서 파악된 보이스피싱 의심 정보를 참여기관 간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AI 패턴 분석을 통해 범죄를 차단하는 시스템이다. 피해자 계좌, 범죄 활용 계좌, 해외 의심 계좌 등 9개 유형 정보가 즉시 전파된다. 에이샙을 통해 전 금융권 의심 계좌와 연계 계좌 정보가 공유되면 조직적 범죄 자금 흐름을 추적하고 차단하는 효과가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금융보안원은 에이샙에 축적된 정보로 AI 학습을 통해 위험지표 산출 공동 모델을 개발한다. 금융회사는 직접 구동 방식이나 API 호출 방식 중 선택해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AI 분석 정보는 내년 상반기 중 참여기관에 제공될 예정이다. 충분한 AI 인프라를 갖추기 어려운 제2금융권도 고도화된 탐지 모델을 쓸 수 있다.
금융위는 에이샙 출범과 함께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법령 개정도 추진한다. 수사·통신 부문 의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포함 정보공유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가상자산 피해 구제 방안을 담은 통신사기피해환급법 개정을 금년 중 진행한다. 금융회사 무과실배상책임 도입도 금융권과 논의해 올해 안에 법 개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금융회사 보이스피싱 방지 역량을 높이고 책임도 강화한다”면서 “전 금융권이 AI 등 첨단기술로 무장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시소 기자 siso@et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