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전명: 흑맥주 가문을 지켜라’···우리가 몰랐던 기네스 이야기

2025-10-17

‘오마주’는 주말에 볼 만한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콘텐츠를 추천하는 코너입니다. 매주 토요일 오전 찾아옵니다.

<하우스 오브 기네스>라는 제목을 들으면 어떤 이야기가 떠오르시나요. 여기서 ‘기네스’는 흑맥주로 유명한 그 브랜드가 맞습니다. 창립자 아서 기네스가 1759년 아일랜드 더블린에 ‘기네스 양조장’을 설립하며 역사가 시작됐죠. 넷플릭스에 지난달 25일 공개된 8부작 시리즈 <하우스 오브 기네스>는 문자 그대로, 맥주로 세계를 제패한 기네스 가문의 이야기입니다.

기네스의 상징적인 스타우트 개발기와 같은 말랑한 이야기를 상상했다면 오산입니다. 시리즈는 예상보다 어둡고 진합니다. ‘기네스’라는 가문명이자 브랜드의 명성을 지키고자 하는 이들과 이를 호시탐탐 흠집 내려는 사람들 간의 정치 암투극에 가깝거든요.

1868년 5월, 벤저민 기네스의 장례식날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당시는 기네스 맥주가 이미 대영제국 등 전 세계 절반에 유통되던 즈음입니다. 더블린 최고 부자이자 맥주 왕국을 호령하던 꼭짓점이 죽었다는 건 그 자리를 누군가 물려받는다는 걸 의미하죠. 전부 20대로 그 왕관의 짐을 짊어지기엔 미숙하고 혈기왕성한 사 남매가 그 후보입니다.

가장 유력한 상속자인 장남 아서(앤서니 보일)는 어쩐지 기쁘지 않은 표정으로 시종일관 냉소적입니다. 막내이지만 총명한 에드워드(루이스 패트리지)는 형이 맥주 사업에 큰 관심이 없다는 걸 눈치채고는 제게 비전이 있음을 피력합니다. 총명하지만 딸인 앤(에밀리 페이른)은 일말의 희망을 놓지 않습니다. 장례식장에까지 취한 채 등장할 정도로 술과 도박에 절어 사는 차남 벤저민은 아무래도 논외일 것 같죠.

‘4남매가 상속을 놓고 싸우겠군,’ 하는 예상을 시리즈는 한 번 더 비껴갑니다. 물론 서로를 골칫덩이로 생각할 때가 잦지만 네 사람은 ‘기네스’라는 가문의 명성에 먹칠하지 않으려는 마음을 공유합니다.

적은 외부에 있습니다. 기네스 양조장의 명성만큼, 그를 곱게 보지 않는 이들도 많기 때문이죠. 벤저민의 장례식날 시위대가 도로를 점거하며 운구 마차에 돌을 던질 정도입니다. 술을 죄악시한 일부 청교도들은 ‘죄악을 일삼던 양조업자’라며 벤저민을 본뜬 인형을 불태웁니다. 아일랜드가 영국으로부터 해방되기를 꿈꾸던 ‘페니언’들은 대표적인 친-영국 가문인 기네스가를 원수처럼 여깁니다.

<하우스 오브 기네스>는 정치·종교적으로 분열된 아일랜드 사회의 격랑 속 기네스 양조장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남매의 분투기를 담습니다. 그 안에서 기네스 일가는 절대선이 아닙니다. 신흥 부자로서 자신들의 높은 지위를 알고, 이를 영악하게 활용하며 때로는 패악을 부립니다.

기네스 양조장은 실제 이 시기에 노동자에게 퇴직 연금을 지급하고 빈자들을 위한 거주 단지를 짓는 등 자선활동을 벌였습니다. 일부 사실에 상상을 다수 첨가한 시리즈는 그 선행의 배경에 온전한 선의만 있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상상을 펼칩니다. 치열한 머리싸움 속 페니언들의 여성 전략가, 엘렌 코크런(니암 맥코맥)은 시대가 규정 짓는 성별의 한계를 뛰어 넘는 활약을 보여 줍니다.

배우 킬리언 머피가 열연한 BBC <피키 블라인더스>의 각본가이자 프로듀서 스티븐 나이트가 쓰고 제작한 작품입니다. 시대적 배경은 다르지만, 세련된 시대극이라는 점에서 궤를 같이합니다. 그 시대 아일랜드 재벌이나 다름없던 기네스가의 막강함에 한 번, 1800년대 아일랜드의 그럴듯한 재현에 또 한 번 놀라게 되는 시리즈입니다. 청소년 관람 불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