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 외교부 "석유 수입은 국내 시장 요인에 기반, 인도 에너지 안보 확보가 목표"
야당 "50% 관세는 경제적 협박...印 정부는 국민 이익 지켜야"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미국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대해 인도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AFP 통신과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 외교부는 6일(현지 시간) 발표한 성명에서 "매우 유감스러운 조치"라며 "불공정하고 부당하며 이성적이지 않다"고 반박했다.
외교부는 "우리는 이미 이러한(러시아산 석유 수입) 문제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며 "(석유) 수입은 우리의 시장 요인에 기반한 것이고, 인도 14억 인구의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이어 "다른 여러 국가들이 자국의 국익을 위해 취하고 있는 조치임에도 미국이 인도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인도는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에 비판적이었던 인도 야당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7일(현지 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인도 연방의회 제1 야당인 인도국민회의(INC) 지도자인 라훌 간디 전 대표는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50% 관세는 경제적 협박"이라며 "인도에 불공정한 무역 협정을 강요하려는 시도"라고 주장했다.
이어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인도 국민의 이익을 벗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와할랄 네루 인도 초대 총리의 증손자이자 모디 총리의 정적인 간디 전 대표는 앞서 미국이 인도에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자 "인도 경제를 죽였다"며 모디 총리를 비판했었다.
같은 당 소속 정치인 샤시 타루르도 인도에서 미국산 제품에도 보복 관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압력이 높아질 것이라며,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을 벗어나 대체 가능한 다른 무역 상대국을 찾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블룸버그는 "인도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향한 분노가 커지고 있다"며 인도 정부 관계자들도 충격과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 4월 인도에 26%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관세 인하 등을 포함한 무역 합의를 위해 양국은 5차례 협상을 벌였으나 인도가 미국의 유제품 및 농업 시장 개방 요구를 거부하면서 협상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미국은 인도에 대한 상호 관세율을 25%로 조정한 뒤 최근 이 외에 별도의 제재를 예고했다. 인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석유를 대량 구매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다.
상호 관세의 정식 발효를 하루 앞둔 6일,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 정부가 현재 러시아 연방의 석유(원유와 각종 석유 제품 포괄)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하고 있음을 알게 됐다"며 "관련 법률에 따라 미국 영토로 수입되는 인도 물품에는 25%의 추가 관세율이 적용된다"고 밝혔다.
징벌적 추가 관세는 3주 후 발효되며, 이에 따라 미국의 인도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은 50%로 높아지게 됐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