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올림픽 정식종목…전북태권도협회 1963년 설립
전북, 각종 국제대회 우수한 성적… '태권도 종주도' 우뚝

얍! 얍! 얍! 태권!
태권동자들의 우렁찬 기합 소리가 전세계 태권도인들의 귓속을 울리고 있다.
태권도는 대한민국의 전통 무예이자 국기(國技)로 매년 9월 4일은 ‘태권도의 날’로 지정돼 있으며, 태권도 경기의 모든 진행은 한국어를 사용한다.
국기원은 태권도를 한국의 맨손 무예사의 전통을 잇는 맥락 위에 있음을 분명히 하며 해방 후인 1946년부터 시작되었다고 명시한다.
해방을 전후해 태권도를 비롯한 각종 무술을 가르치는 도장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1944년 설립된 청도관을 필두로, 송무관, 무덕관, 조선연무관 권법무, YMCA 권법부 등 다섯 개의 도장이 대표된다.
이들 5개의 도장들이 기간도장(基幹道場) 또는 5대관으로 불리며 현대 태권도의 근간이 되었다.
1950년대 국내 무술·무도계에는 당수도·공수도·권법·화수도·태권도 등의 명칭이 난립하고 있었다.
이 무렵인 1959년 태권도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대한태권도협회가 창립됐다.
1973년 제1회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를 계기로 세계태권도연맹(WTF)도 창립됐다.
1988년 서울 올림픽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시범종목이 됐으며, 2000년 제27회 시드니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다.
이제 태권도는 대한민국을 넘어서 세계적인 무예로 성장해 가며 대한민국의 정신과 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고 있다.

전북자치도태권도협회도 1963년 설립됐다.
초대 전일섭 회장을 시작으로 현재 제24대 고봉수 회장으로 이어지며 태권도 종주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제24대 전북자치도태권도협회는 고봉수 회장을 필두로 7명의 부회장과 24명의 이사가 14개 시·군 태권도협회와 함께 전북 태권도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다.
선수로는 겨루기 부문에 44개 팀 412명, 품새 부문에 54개 팀 225명, 격파 부문에 17개 팀 227명이 등록돼 있다.
육성팀으로는 전주초등학교를 비롯한 초등부 6개, 중등부 8개, 고등부 8개, 대학부 4개, 일반부 2개 팀에서 선수들을 육성하고 있다.
또한 동호회도 372개 팀이 운영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각종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2023 아시아카뎃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삼례초 박지훈이 3위에 올랐다.
2024년에는 춘천코리아오픈국제태권도대회에서 전주대 최주안이 1위, 싱가포르 세계버츄얼태권도선수권대회에서 우석대 박성빈이 2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오픈대회에서 카뎃부문 전주스포츠클럽 문지담이 1위 전주남초 장형록이 2위, 제8회 아시아품새선수권대회 패어전에선 지인태권도장 장명진이 1위 세계태권도품새선수권대회 단체전에서 지인태권도장이 2위의 성적을 거두며 국제 무대에서도 활약하고 있다.
지난해 제105회 전국체육대회에서는 한국체대 소속의 손태환이 남자대학부 +87Kg급에서 금메달을 우석대 오석환이 남자대학부 –63Kg급에서 은메달, 우석대 곽연수는 여자대학부 –57Kg급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총 금1, 은3, 동5개의 성적을 거뒀다.
소년체전에서도 금3, 은1, 동3의 획득했다.
전북자치도태권도협회는 올해도 각종 국·내외 대회를 유치하고 있다.
2025 문체부장관기 전국초등학교태권도대회와 제48회 한국대학태권도연맹회장기 전국태권도대회, 제23회 우석대학교총장기 전국태권도대회 등을 유치하며 태권도 저변 확대 및 선수 육성에 앞장서고 있다.
전북자치도태권도협회 고봉수 회장은 1990년대 협회에 입문해 전입코치, 사무국장, 상임부회장 등을 거치며 협회 실무와 행정을 두루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협회의 소통과 화합을 이끌어가고 있다.

고봉수 회장은 “전북은 태권도의 종주도이자 태권도원이 자리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올림픽 출전 선수를 배출하지 못했다”며 “유망주 조기 발굴 및 체계적인 훈련 시스템 구축으로 올림픽에서 전북 출신 선수가 금메달을 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태권도 #전북태권도협회 #전북체육회
오세림 thedrift@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