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푸드, 엠지푸드솔루션 인수로 식품 제조 라인 강화
식품·부동산 다각화 설계한 오규식 부회장, LF푸드 회장으로
패션업계 전반 침체 속, LF만 실적 '역주행'
코람코의 33조 리츠 자산…부동산 사업이 실적 버팀목
"패션 넘어 생활 전반으로"…LF, 계열사 44곳으로 확장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여름이 길어지자 패션업계의 2분기 전망도 어둡다. 이 가운데 침체된 산업에 머물러 있지 않고 다른 사업으로 적극적인 다각화를 해 영업익을 선방하는 LF의 행보가 눈에 띈다. LF는 자회사인 LF푸드와 코람코를 통해 패션을 넘은 '생활문화기업'으로 탈바꿈하며 위기를 극복해나가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LF는 지난 1일 시즈닝 분말 및 소스류 전문 제조업체 엠지푸드솔루션의 지분 100%를 총 500억 원에 인수할 계획이라고 공시했다. 인수는 내달 13일 완료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식품 제조 역량의 수직 계열화를 완성할 방침이다.

LF 관계자는 "면류(한스코리아), 육가공(LF푸드제천)에 이어 소스 제조까지 생산 라인을 확장해 HMR 제품 개발과 식자재 유통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LF는 올해 오규식 부회장을 LF푸드 회장으로 선임하며 식품 부문을 그룹의 핵심 성장축으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명확히 했다. 오 부회장은 2018년 부회장으로 승진한 이후 LF의 사업 구조를 패션 중심에서 식품, 뷰티, 부동산 등으로 다각화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실제 LF는 패션업계 전반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인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패션업계는 애슬레저 등 일부 브랜드를 제외하면 평균적으로 6~9분기 연속 실적 감소세를 기록 중이다. 올해 2분기 또한 경기침체,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별다른 실적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태다.
반면 LF는 같은 기간 영업이익 53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2% 증가하며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지난 1분기에도 영업이익이 22.4% 늘어나는 등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실적은 부동산 자회사 '코람코자산신탁'의 견고한 수익 구조 덕분이다. LF는 2018년 코람코를 인수한 뒤 리츠, 부동산 펀드, 신탁 등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종합 부동산 금융 사업을 전개해왔다. 2024년 말 기준 코람코의 운용자산(AUM)은 33조 원에 달하며, 민간 리츠 시장에서는 24년 연속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코람코는 최근 삼성화재 서초사옥 '더에셋 강남' 매각, 아크플레이스 매입 등 굵직한 거래를 성사시켰으며, 국민연금 대출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복정역세권 복합개발 AMC 참여 등으로 운용 성과를 확대하고 있다.
이외에도 LF는 자회사 LF스퀘어씨사이드를 통해 강원 양양 지역 쇼핑타운 개발을 본격화하는 등 부동산 개발 부문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해당 부지는 올해 상반기 착공에 들어갔다.
LF는 2007년 LG그룹에서 계열 분리 당시 1개에 불과했던 계열사를 2025년 기준 총 44개로 확대하며 패션기업을 넘어 생활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기업으로 체질을 전환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계열사 간 통합 시너지와 조직 효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패션업계는 계절성과 트렌드에 민감해 외부 변수에 쉽게 흔들리는 구조인데 타사에서 뷰티 등으로 소극적인 다각화를 이루는 반면 LF는 일찍이 비패션 부문의 비중을 높여 자회사의 안정적 수익 창출이 그룹 전체의 안정판 역할을 하고 있는 듯 하다"고 말했다.
LF 측은 "패션 사업을 통해 축적한 브랜드 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전반을 아우르는 미래형 생활문화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