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나와" 구글도 '가성비 AI'로 맞불

2025-02-06

중국발(發) ‘딥시크 쇼크’에 미국 거대 기술기업(빅테크)들의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오픈AI가 최신 모델을 잇따라 선보인 데 이어 구글은 비용 효율성과 생태계 연계를 강화한 AI 전략으로 딥시크와 오픈AI를 동시에 견제하고 나섰다. 알리바바를 비롯한 중국 빅테크들이 속속 추격에 나서자 미국 빅테크들이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양상이다.

5일(현지 시간) 구글은 제미나이 2.0 플래시 시리즈를 일반 사용자 대상으로 출시하는 한편 유료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모델을 대거 공개했다. 기존 경량 모델인 플래시보다 더욱 빠르고 저렴한 ‘플래시 라이트’를 선보인 점이 특징이다. 이 모델은 콘텐츠 기억 비용이 100만 토큰(AI 연산 단위)당 0.019달러로 0.014달러인 딥시크 V3와 유사하다. 구글은 추론 모델인 2.0 플래시 ‘싱킹’ ‘싱킹 위드 앱’, 최상급 모델인 2.0 프로 등도 함께 선보였다. 싱킹 위드 앱은 AI 모델과 구글 검색·날씨·지도 정보를 연계해 정확한 실시간 정보를 출력한다.

구글의 이날 발표에서는 초경량 모델로 딥시크를 겨냥하는 한편 구글 생태계와 연계한 추론 모델로 오픈AI에 대응하겠다는 전략이 깔려 있다. 앞서 오픈AI는 경량 추론 모델 ‘o3 미니’와 온라인 검색과 장기 추론을 결합한 ‘딥리서치’를 출시했다. 미국 빅테크들이 신규 모델 출시 속도를 높여가며 경쟁사 움직임에 즉각 대응하고 있는 것이다.

배경에는 딥시크 이후 연이어 존재감을 드러내는 중국의 AI가 자리하고 있다. 이날 AI 성능 비교 프로젝트 챗봇아레나에서는 중국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지난달 29일 출시한 큐원(Qwen) 2.5 맥스가 7위를 기록했다. 딥시크 추론 모델 R1(3위)에는 밀리지만 일반 모델 V3(8위)와 오픈AI 추론 모델 o1 미니(10위)를 넘어섰다. 블룸버그통신은 알리바바·바이트댄스·바이두 등 중국 대형 정보기술(IT) 기업은 물론 즈푸·미니맥스·바이촨·문샷·스텝펀·01.AI 등 ‘AI 호랑이’ 스타트업들이 대기하고 있다며 중국에서 제2의 딥시크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을 내놓았다.

글로벌 테크계에서는 중국발 AI 공습에 대응하느라 부산한 모습이다. 이날 일본 소프트뱅크가 미국 반도체 설계 기업 암페어 인수 협상에서 진척을 보이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소프트뱅크는 오픈AI와 ‘스타게이트’ 데이터센터, AI 칩셋 설계 등에서 협력하고 있는 만큼 암페어가 챗GPT 전용 칩셋 설계에 쓰일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