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동북아시아의 초미세먼지를 정밀 분석해 유해물질 646종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초미세먼지를 감안한 도시별 맞춤형 대기오염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ISTI)은 장경순 디지털오믹스연구부 박사 연구팀이 한국·중국·몽골 등 동북아 3개국 수도에서 동시 포집한 초미세먼지 시료를 고분해능 장비로 분석한 결과 총 646종의 유해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를 식별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성과는 환경유해물질 분야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해저더스 머티리얼즈’에 이달 7일 게재됐다.
PAH는 주로 석탄, 석유, 목재, 쓰레기 등 화석연료나 유기물질의 불완전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이다. 일부 성분은 국제암연구소(IARC)의 발암성 물질로 분류됐다. 장기적으로 노출될 경우 인체에 호흡기 질환, 피부질환, 암 발생 등 다양한 건강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 학계는 미국 환경청(EPA)이 지정한 16종을 중심으로 초미세먼지 속 PAH를 분석해왔다.
연구팀은 정밀 분석을 위해 ‘고분해능 이차원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 장비를 사용해 646종을 확인하고 성분별로 생태독성을 예측했다. 이를 통해 도시별 PAH 조성과 독성 차이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도시별로 맞춤형 대기 질 개선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화여대와 중국 베이징대, 몽골 국립대 연구진이 협력했다.
장 박사는 “이번 연구는 동북아 주요 도시의 초미세먼지에서 수백 종의 유해 PAH를 분자 수준에서 정밀 분석하고 지역별로 독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과학적으로 밝혀낸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도시별 맞춤형 대기오염 관리 전략 마련과 국제 공조 체계 강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