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눅눅한 여름, 경쾌한 개방감에 자연스러운 멋까지
줄무늬보다 더 클래식한 패턴이 또 있을까? 일곱 살 때 엄마에게 받은 첫 책 선물은 스페인어로 된 피카소(사진)의 사진 작품집이었다.
스스로 매우 조숙하다고 생각했던 나는 뜻도 모르면서 한 장 한 장을 외우듯 들여다보았던 기억이 난다. 내용을 이해했다기보다는 낯선 외국 할아버지가 무언가를 그리고 만드는 모습 그 자체로 받아들였던 것 같다.
작열하는 스페인의 여름, 피카소는 윗옷을 벗고 있거나 스트라이프 티셔츠에 짧은 반바지만 입은 채 작품 활동에 전념하고 있었다. 그때는 그가 얼마나 위대한 예술가인지, 스페인의 여름이 얼마나 더운지 가늠하지 못했다.

프랑스 선원복에서 유래
‘브르타뉴 스트라이프’
샤넬·피카소·바르도 등
유명인이 즐겨 입어 인기
무심하게 매치하기 쉽고
중장년층에도 잘 어울려
여름철 아이템으로 제격
피카소는 천재적인 예술 세계뿐 아니라 스트라이프 티셔츠와 니트 등 당시 그가 즐겨 입던 옷차림 덕분에 패션 아이콘으로도 회자된다. 세련된 감각을 지닌 중년 이미지 역시 그의 면모 중 하나다. 이 사실은 훗날 패션을 공부하면서 알게 되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 중장년층 남성들은 스트라이프 패턴의 옷을 쉽게 입지 않는 것 같다. 단순하면서도 이만큼 강렬한 인상을 주는 패턴은 드물기에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잘 어울릴 수 있는데 말이다.
스트라이프는 여성복이나 캐주얼한 젊은이들의 상징처럼 여겨지지만, 여름철 브르타뉴에서는 나이 지긋한 남성과 여성들이 정원 일을 할 때 이 옷을 입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리고 피렌체의 피티 워모(세계 최대 남성복 박람회)에서도 멋쟁이 남성들이 스트라이프 티셔츠를 무심하게 매치한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그래서인지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스트라이프 패턴은 ‘브르타뉴 스트라이프’라고도 불린다. 한때 소박한 선원복이었던 브르타뉴 스트라이프는 비교적 빠르게 진정한 패션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 1858년, 프랑스 브르타뉴 지역에서 프랑스 해군의 공식 제복으로 처음 도입된 브르타뉴 셔츠는 총 21개 줄무늬가 특징이었다. 이는 나폴레옹의 21차례 승리를 상징하는 동시에 바다에 빠진 선원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것이었다.
실제 프랑스 해군의 스트라이프 셔츠 마리니에르(Mariniere)는 울 니트 소재로 만들어지며, 폭 10㎜의 네이비 줄무늬가 20㎜ 간격으로 총 20개 있어야 한다(소매에는 14개). 이처럼 정확한 기준이 존재하며, 소매 선은 몸통과 정밀하게 맞물려 패턴이 끊기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1950~1960년대에 이르자, 이 소박한 선원복은 편안한 프랑스식 세련미를 상징하는 아이템으로 떠올랐다. 특히 코코 샤넬, 파블로 피카소, 브리지트 바르도, 장 세버그 등 수많은 인물이 이 스트라이프 패턴을 즐겨 입으면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칼 라거펠트, 장 폴 고티에, 이브 생로랑, 소니아 리키엘 같은 디자이너들이 수년간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해 선보인 덕분에 스트라이프는 이후 줄곧 매 시즌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요즘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등지에서는 연일 폭염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동남아시아의 열대 더위에 견줄 만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런 날씨엔 무엇을 입어야 할지 매일 옷장 앞에서 고민하게 되는 시기다. 단색 셔츠나 티셔츠만 입기엔 지겹고, 화려한 패턴을 입자니 휴가지도 아닌 도심에서 부담스럽기도 하다. 자칫하면 촌스러워 보이거나 유행이 지난 패션처럼 느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패턴이 있는 옷은 스타일링하기에 매우 까다롭고, 패션 고수들이 아니면 소화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는 센스 있게 고를 만한 패턴으로 스트라이프만 한 것이 없다. 과하지도 밋밋하지도 않으며, 경쾌한 인상을 주니 말이다.
게다가 스트라이프는 간격의 미묘한 차이에서 색다름을 만들어낸다. 간격이 넓으면 좀 더 캐주얼하고, 좁으면 섬세한 느낌을 준다. 컬러도 클래식한 네이비부터 블랙, 핑크, 레드, 옐로 등 다양한 색상이 있다.
소재에 따라 느낌도 전혀 달라진다. 면 티셔츠의 질감이 너무 캐주얼하게 느껴진다면 니트 소재를 선택하면 된다. 라운드넥이 격식 없어 보인다면 카라가 있는 폴로 셔츠를 선택해도 좋다. 폴로 스타일 셔츠는 여성복부터 남성복까지, 하이패션부터 스트리트패션까지 인기 있는 아이템이다.
스트라이프를 입는 데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건 아니다. 옷차림에 스트라이프를 자연스럽게 녹여낼 방법은 많다. 자기 스타일이 새로움을 추구하고, 스스로 옷을 꽤 잘 매치해서 입는 사람이라면 머리부터 발끝까지 줄무늬로 연출하거나, 색상도 올리브부터 핑크까지 다양하게 선택해 믹스 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하의뿐만 아니라 가방, 스카프까지 활용하면 스트라이프가 더 이상 흔한 스타일이 아닌, 나만의 개성이 담긴 독창적인 패션으로 거듭날 수 있다.
취향에 따라 보수적이고 클래식함을 선호한다면, 이번 시즌에는 단연 좁은 간격의 스트라이프 패턴을 추천한다. 매 시즌 스트라이프 간격에는 은근한 유행이 있는데 요즘은 클래식한 마리니에르 간격이 다시 유행처럼 여겨진다. 색상은 흰 바탕에 네이비나 블랙 조합이라면 어떤 장소에서든 잘 어울린다. 거기에 고급스러움까지 추구하고 싶다면, 면베이스 니트에 실크가 혼방된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16게이지(1인치에 16코가 들어간 얇은 짜임) 니트는 세련되고 도회적인 인상을 준다. 좀 더 사치를 누리고 싶다면, 100% 실크 소재도 고급스러운 선택이 될 수 있다. 다만 더위를 너무 많이 타고 땀이 많은 사람에게는 추천하지 않는다. 실크 소재는 땀이 닿으면 그대로 얼룩이 남기 때문이다.
이처럼 소재와 디자인 선택도 중요하지만, 스트라이프는 어떻게 입느냐에 따라 인상이 크게 달라진다. 줄무늬 자체가 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과하지 않게 입는 것이 포인트다. 조합이 자연스러울수록 더 멋져 보이며, 특히 하의 색상은 스트라이프와 같은 톤일 때 그 효과가 더욱 크다.
키가 커보이고 싶다면, 상의에 비중 있게 쓰인 색상과 하의 색상을 맞춰 입는 것이 좋다. 차분하고 훨씬 길어 보이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스트라이프에서 비중이 적은 색상에 하의를 맞추면, 보다 경쾌하고 발랄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여름의 뜨겁고 눅눅한 날씨를 맞이하기에 이보다 더 적합한 옷차림도 드물 것이다. 도심은 물론 휴가지에서도 다양하게 연출이 가능한 스트라이프 패턴은 잘만 고르면 여름철마다 입을 수 있는 든든한 아이템이 될 것이다.
■박민지

패션 디자이너. 파리에서 공부하고 대기업 패션 브랜드에서 패션 디자이너로 20여년간 일했다. 패션 작가와 유튜버 ‘르쁠라’로 활동 중이다. 최근 세 번째 저서 <세계 유명 패션 디자이너 50인>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