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가지, 어디서 묵지" 외신도 지적…APEC이 남긴 숙제 [경주 APEC]

2025-11-02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지난 1일 ‘경주 선언’ 채택을 끝으로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다. 회원국들은 경주 선언문 마지막 부분에 APEC 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대한민국과 경주시, 경주시민을 향한 감사함을 담았다. 하지만 대규모 국제행사를 치르기엔 부족한 경주의 한계도 드러났다.

2일 경북도에 따르면 2015년 필리핀에서 열린 ‘23차 APEC 정상회의’에서 2025년 한국 개최가 확정됐다. 이후 경북도·경주시는 2021년 7월 공식적으로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지난해 국제공항을 품은 인천과 제주 등을 제치고 최종 개최지로 낙점됐다.

낙점 이후 일각에선 “기반 시설이 부족한 소도시 경주에 APEC 정상회의 행사 관련 인프라가 제때 갖춰질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나왔다. 우려는 현실이 됐다. 정상회의장·국제미디어센터·만찬장·경제전시장 등 4개 주요 시설물 공사는 지난 9월 말에야 대부분 끝났고, 행사 직전까지 주차장 포장, 인테리어 작업 등이 이어졌다. 행사를 한 달여 앞두고는 정상회의 만찬장이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라한셀렉트 경주호텔로 변경되는 우여곡절도 겪었다. 규모가 작아 수용 인원이 적고 부대시설이 부족해서다.

외신도 APEC 기간 미국·중국·일본 등 주요 국가 정상과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등 참가자 2만명을 한꺼번에 맞이하기에는 경주 시내 숙소나 교통시설 등이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NYT)는 APEC 개최 전인 지난달 28일(현지시각) 기사를 통해 “K팝 발상지 한국은 경주에서 그 문화의 뿌리를 자랑하고 싶어 했으나 경주로 향하는 상당수가 처음 갖는 의문은 ‘어떻게 가지, 어디서 묵지’였다”고 했다.

경주에 국제공항이 없고, 귀빈들과 대기업 대표단을 수용할 호텔이 충분하지 않은 점을 비판한 것이다. 실제 정상급 인사들은 경주 내 숙소를 확보할 수 있었지만, 일부 기업 CEO 등은 부산이나 포항 등 주변 도시에서 행사장으로 출퇴근해야 했다. NYT는 “경주가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런 점 때문에 개발이 엄격하게 제한됐다”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2일 이런 한계 등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포스트 APEC 전략’을 꺼냈다. 이 전략은 문화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10대 사업이 핵심이다. 경북도는 우선 보문단지를 대대적으로 재단장해 특급호텔을 유치하고, 모노레일·자율주행차·노면전차 등을 운행할 계획이다.

또 APEC 퓨처 스퀘어도 짓는다. 퓨처 스퀘어는 인공지능(AI)·확장현실(XR) 등 기술 융합형 전시·체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공간이다. APEC 글로벌 인구협력위원회를 설립해 국립인구정책연구원을 유치하고 신라통일평화공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신라통일평화공원은 현재의 통일전·화랑교육원·경북천년숲정원 등을 연계한 복합 문화 관광지로 개발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포스트 APEC 사업은 경주가 세계 10대 관광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것”이라며 “후손들에게 밝은 미래를 열어줄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