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좀처럼 오지 않았습니다. 잘못 들은 걸까요? 산모퉁이 저편, 빠앙 빵 거린 지가 언젠데 하루 대여섯 번 지나는 버스는 굼벵이처럼 느려터졌습니다. 어머니였을까요? 형이었을까요? 외할아버지 제삿날이었을까요? 여름방학에 서울 막내 고모 집에 가는 길이었을까요? 신작로 양편에 훌쩍 키가 큰 포플러가 줄지어 서 있었습니다. 전봇대가 어디까지 따라왔습니다.
먼 길을 휘돌았습니다. 열, 스물, 서른, 마흔……, 세월이 갈수록 속도는 빨라졌으며 가는 곳마다 가로수는 달랐습니다. 포플러만 있는 줄 알았건만 은행나무, 플라타너스, 이팝나무, 감나무, 메타세쿼이아, 배롱나무, 마로니에, 목련 많고도 많았습니다. “종로에는 사과나무를 심어보자 그 길에서 꿈을 꾸며 걸어가리라”, 유행가처럼 사과나무도 있었고요.
자갈길에 팡팡 튀어올랐었지요. “이놈의 똥차!” 어른들은 손잡이를 움켜쥔 채 투덜거렸지만 나는 고소했지요. ‘더 뛰어라 더!’ 깨소금 맛이었습니다. 달려왔다 달아나는 포플러를 세며 버스는 뽀얀 흙먼지 속을 덜컹거렸습니다. 추석 무렵엔 가로수 사이로 코스모스가 손을 흔들곤 했지요. 그나저나 어디서 내렸을까요? 나만 혼자 두고 어머니도 형도 간곳없습니다.
#안성덕 #시인 #풍경 #가로수 #포플러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