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 수출 시장 진출 가속화, 트럼프 관세 영향 주목
중국 소비시장의 총아, 新성장동력이 된 '굿즈경제'
중국 굿즈경제 고속성장세 속 기업의 해외진출 확대
이 기사는 5월 2일 오전 12시0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화권 증시 소비섹터 新 투자방향① 총아로 떠오른 '굿즈경제'>에서 이어짐.
◆ 북미 시장 확장 주력, 美 트럼프 관세 영향은?
2018년 해외 시장 진출 및 글로벌화 전략을 점진적으로 추진한 이래 2024년 '팝마트인터내셔널그룹(POP MART, 9992.HK, 이하 팝마트)'은 처음으로 해외 사업을 네 개의 주요 지역으로 분류했다. 그 중 동남아시아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619.1% 급증한 24억 위안으로 전체의 47.4%를 차지, 네 개 지역 중 매출 비중이 가장 높고 성장 속도가 가장 빠른 지역이 됐다.
동아시아 및 홍콩, 마카오, 대만 지역의 매출은 13억9000만 위안으로 전체 매출의 27.4%를 차지했고, 전년 대비 184.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북미 시장 매출은 전년 대비 556.9% 증가한 7억2000만 위안으로 14.3%를 차지했고 유럽, 호주 및 기타 시장의 매출은 전년 대비 310.7% 늘어난 5억5000만 위안으로 10.9%를 차지했다.
주목할 점은 왕 CEO가 2024년 재무제표 발표 회의에서 북미 시장에 대해 중점적으로 언급했다는 것이다.
왕 CEO는 "2024년 많은 이들이 동남아시아 시장의 활황을 강하게 체감했지만, 사실 북미 시장의 성과도 매우 우수했다"면서 "2025년 북미 시장 매출은 팝마트가 2020년 거둬들인 전체 매출액에 해당하는 25억 위안 규모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북미가 팝마트의 핵심 시장으로 자리잡아가는 가운데,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관세 부과로 팝마트가 받을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중국 모바일 앱(APP) 관련 데이터 분서업체 치마이(七麥)에 따르면, 올해 4월 25일 기준 팝마트 앱은 미국 앱스토어 쇼핑 부문 순위 1위에 올랐다. 팝마트 공식 앱이 쇼핑 분야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팝마트 앱은 하루 만에 114단계 상승해 무료 앱 종합 순위 4위에 올랐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 증권은 연구 보고서를 통해 팝마트가 강력한 가격 결정력, 경기 침체에 대한 방어력, 글로벌 생산 기지 이전과 공급망 다변화, 그리고 글로벌화 전략을 갖추고 있다는 점을 들어 "관세 분쟁이 팝마트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미국 바이어(수입업자)가 관세 납부 책임을 지는 FOB(본선인도) 가격 정책을 따르고 있고, 팝마트의 미국 시장 총이익률이 75%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약 20%의 소매가격 인상으로 100% 이상의 관세 인상 분을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미국 시장에서 완구 피규어 가격이 16.99달러에서 18.99달러로 인상된 것은 팝마트의 가격 결정력을 보여준다.
여기에 팝마트는 2024년에 중국 생산력의 10%를 베트남으로 이전했으며, 2025년에는 동남아시아와 멕시코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러한 공급망 다변화 전략은 관세 리스크를 줄이는 동시에 글로벌 영향력 확장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 中 소비시장의 총아로 떠오른 '굿즈경제'
중국 트렌디 토이 산업은 안정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고, 이와 함께 굿즈경제 또한 빠르게 발전하며 중국 소비시장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올랐다.
전통 완구와 달리 현대 트렌디 토이는 뚜렷한 사회적, 감성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젊은 세대가 핵심 소비층이다. 최근 감성 경제가 부상하면서 중국 트렌디 토이 시장도 발전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Sullivan)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2년 트렌디 토이 시장 소매 규모는 352억 위안으로, 2015~2022년 연평균 성장률은 28%를 기록했다.
시장 구도 측면에서 중국 트렌디 토이 시장은 상대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2022년 기준 소매 부문 상위 5대 기업의 점유율은 약 24%를 차지했다. 그 중 1위는 단연 팝마트로 시장 점유율은 약 12%를 기록, 2019년 대비 3%포인트(p) 상승했다.

'2025년 셴위(閑魚) 굿즈경제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굿즈 소비는 폭발적 성장기에 진입해 연간 거래액은 전년 대비 105% 증가했다. 올해 1분기 알리바바 산하의 중고판매 사이트 '셴위'의 굿즈 제품 거래액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으며, 중국산 IP 굿즈의 인기는 일본을 추월해 거래액이 일본의 1.2배에 달했다.
중국 시장 조사기관 아이미디어 리서치(iiMedia Research)가 발표한 '2024~2025년 중국 굿즈경제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ACGN(애니메이션∙만화∙게임∙소설) 등 지식재산권(IP) 제품과 관련한 중국 서브컬처 콘텐츠 시장은 폭발적 성장기를 맞고 있다.
2019년 중국 서브컬처 콘텐츠 관련 사용자 규모는 3억5400만 명에 달했고, 2024년에는 5억300만 명에 달했으며, 2029년에는 5억70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중국 굿즈경제 시장 규모는 1689억 위안에 달해 2023년 대비 40.63% 성장했으며, 2029년에는 그 규모가 3000억 위안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된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