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5세대(5G) 이동통신·롱텀에볼루션(LTE) 통합요금제 출시를 위한 막바지 작업에 돌입했다. 기존 목표였던 1분기보다는 지연됐지만 전산 작업과 세부 논의를 마무리하는대로 상반기 내 출시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5G·LTE 통합요금제 출시를 위한 막바지 논의에 들어갔다. 자체적으로 통합요금제 설계를 마치고 약관심사 신청을 위한 사전 협의 단계를 밟고 있다. 고객 수요 조사와 효율적 망 자원 분배 등 실무단에서 추가 검토도 병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에 없던 형태의 요금제다보니 세부적 내용에 대한 조정이 다소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서 “정부와는 실무적 논의를 지속 중”이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통신이용제도과 관계자도 “KT가 통합요금제를 출시하겠다는 의사는 확실히 밝혀왔다. 설명한 대로면 이용자 혜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 “다만 출시 시점에 대해서는 KT에서 내부적으로 조율 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통합요금제는 5G·LTE 등 세대별 기술방식 구분 없이 데이터 용량, 전송속도에 따라 가입자가 본인 사용패턴에 맞는 요금 상품을 선택하는 방식이다. 일부 LTE 요금제가 5G보다 비싸다는 요금 역전 현상에 대한 지적에 따라 지난해 말부터 이통사 모두 통합요금제 출시를 준비해왔다.
이통 3사는 이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올해 1월부터 5G보다 비싸거나 혜택이 적은 LTE 요금제 약 134종을 단종시켰다. 전체 LTE 요금제의 절반이 넘는 규모다. 요금 역전 현상을 해소를 통해 다음 단계인 통합요금제 출시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KT는 지난해 11월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과 회동에서 올 1분기 내 통합요금제 출시를 예고했지만 현재는 2분기로 밀린 상태다. 이는 내외적 요인이 모두 작용했다. 조기 대선 전까지 정책 공백기가 불가피하다. 자연스럽게 요금제 개편 추진 동력도 약화됐다.
기술·사업적 고려 요소도 남아 있다. 전산시스템 마련 등에 필요한 물리적 시간뿐 아니라 통합요금제 수요를 대비한 최적의 셀 설계, 망 분배 등 기술적 요소에 대한 대비가 더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통합요금제는 가입 상품과 상관없이 5G망과 LTE망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만큼 가입자 기반으로 트래픽 수요를 미리 예측할 수 없다.
KT 관계자는 “외부의 정치적 변화 요인에 따라 출시가 늦어진 것은 아니다”라며 “전산과 기술 대응 등 실무적 준비 과정에서 시일이 조금 더 소요되고 있으며 상반기 내에는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