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D, 뼈 건강 넘어 ‘노화 늦추는 열쇠’ 될까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 주목

비타민 D가 단순히 뼈 건강을 넘어 생물학적 노화 자체를 늦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Brigham, MGB)과 조지아 의과대학 연구진이 이끄는 이번 연구는 최근 미국 임상 영양 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월호에 발표됐다.
연구진은 비타민 D 보충제가 세포의 노화 속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텔로미어(telomere)의 단축을 늦출 수 있다고 밝혔다. 텔로미어는 염색체 말단에 위치한 DNA 구조로, 마치 신발 끈 끝을 감싸는 플라스틱처럼 유전 정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시간이 흐르며 자연스럽게 짧아지는 이 텔로미어는 노화와 각종 질병의 위험 신호로 간주한다.
연구는 미국 전역에서 4년간 1,000명 이상의 중장년층(50세 이상 남성, 55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참가자들은 무작위로 비타민 D3(1일 2,000 IU)와 오메가-3 지방산(1g) 혹은 위약을 복용하도록 배정됐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의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를 연구 초기, 2년 후, 4년 후 세 차례에 걸쳐 측정했다.
그 결과, 비타민 D3를 꾸준히 복용한 그룹은 위약군보다 텔로미어 단축이 유의미하게 적었으며, 이는 최대 3년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마모를 줄이는 효과로 해석됐다. 반면 오메가-3 지방산은 텔로미어 길이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 저자인 하버드 의과대학 여성건강센터 조앤 맨슨(JoAnn Manson) 교수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연구는 비타민 D가 염증을 줄이고 진행성 암이나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만성 노화 질환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이 텔로미어 보존 효과를 확인한 최초의 대규모 장기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조지아 의과대학 분자유전학자 하이동 주(Haidong Zhu) 박사는 “비타민 D 보충제가 생물학적 노화를 지연시키는 유망한 전략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향후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장기적인 영향을 확인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비타민 D가 노화 자체를 되돌릴 수 있다는 결정적인 증거는 아니지만, 세포 수준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건강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보충제를 시작하기 전,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복용량과 개인에게 맞는 섭취법을 확인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텔로미어(Telomere)는 염색체의 끝부분에 위치한 구조로,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점점 짧아지며, 그 길이는 생물학적 노화의 지표로 활용된다.